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직무대행 박래길)은 신소재공학부 엄광섭 교수팀이 구리 집전체의 전기화학적 전처리를 통해 리튬금속 전지의 용량 유지율 및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유기 전해질 내에서 티오요산(Thiourea)의 리튬 질산염(LiNO3) 분해 촉매 효과를 최초로 규명하고, 이를 이용한 간단한 전기화학적 공정을 통해 리튬금속 전지 음극에 사용되는 구리 집전체 표면에 무기물이 풍부한 인공 고체막을 형성했다.
인공 고체막의 강한 물성과 이온 전도성에 의해 전지의 성능과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리튬 수지상 결정 성장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리튬 질산염의 촉매적 분해로 생긴 다량의 무기물 때문임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개발한 구리 집전체를 사용한 리튬 금속 음극을 사용한 결과, 기존 구리 집전체 대비 약 2.5배 높은 용량 유지율 및 4배 이상의 수명을 갖는 리튬금속 전지를 제조하는데 성공했다.
기존의 구리 집전체는 약 30회의 충․방전 후 70% 이하로 용량이 줄어들었지만 새로 개발한 구리 집전체를 사용한 음극은 120회 이상의 충․방전 후에도 70% 이상의 용량을 유지하는 등 안정적인 성능을 보였다.
특히 전기화학 처리가 전압 주사와 같은 간단한 전기적 신호 적용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극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한다.
엄광섭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소량의 전해질 첨가제와 간단한 전기화학 표면처리로 리튬금속전지 음극용 집전체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 고에너지 리튬금속전지를 장착한 전기자동차의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aitimes.com
- 삼성, 반도체 인재 양성 위해 지방 계약학과 3곳 신설
- GIST–인하대, 유인우주시대 대응 위한 학술교류 협력
- 김준하 광주AI산업융합사업단장, 챗GPT로 취임사 작성
- 광주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에 김준하 GIST 교수 선임
- 윤정원 GIST 교수, '기계·장비·로봇 분야' 연구개발 우수성과 선정
- AI산업융합사업단, 연말에 헬스케어 관련 데이터 공개한다
- GIST 제9대 총장 선임 부결
- GIST, 국내 최대 교육연구용 AI 인프라 본격 운영
- GIST, 곤충 시신경 모방한 AI 반도체 개발 추진
- GIST 아카데미 4월 조찬포럼 개최..."AI 시대, 예술의 정의란”
- GIST, 모르는 데이터 구별하는 AI 기술 개발
- MS, '화합물 생성 AI'로 리튬 배터리 대체 물질 발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