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하 광주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이 취임식에서 직무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광주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김준하 광주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이 취임식에서 직무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광주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김준하 광주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신임 단장이 챗GPT로 작성된 취임사를 통해 AI사업단의 구체적인 직무 계획과 직무 비전을 밝혀 눈길을 모았다.

김준하 신임 단장은 9일 취임식을 통해 챗GPT로 원고를 작성했다고 밝힌 뒤 "AI 데이터센터와 AI 산업융합 실증 센터 운영 등을 통해 국가 인공지능 산업 발전의 속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또 사업계획을 브리핑하듯 구체적으로 국내외 동향과 인공지능산업 직무 계획 및 사업단 직무 비전을 직원들에게 발표했다.

그는 “광주에 인공지능 산업융합 생태계를 확산시켜 세계가 주목하는 ‘AI-밸리’를 조성하겠다”라며 “AI 스타트업의 국내외 시장 진출을 촉진해 관련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고 AI로 인한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AI 전문 인재를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사업단 법인 전환과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부서별, 직급별 다양한 소통 채널을 통해 끊임없이 소통하며 삶이 행복한 일터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단장은 재단법인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의 심사를 거쳐 지난 6일 최종 선임됐다. 임기는 2024년 12월31일까지다. 고려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 어바인에서 공학 석·박사를 취득했다.

화학·환경공학 영역에서 AI 및 알고리즘 개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국제저널 87편, 저서 4권, 지적재산권 22건, 수행과제 320억 규모의 연구를 진행했다. 또 과학기술정통부 한국연구재단 도시환경전문센터장을 맡아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연구·산업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과 국토해양부 해수담수화플랜트사업단장으로 지능형 공정최적화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20여년간 광주과학기술원(GIST)에 재직한 지역 통이기도 하다.

한편 김 단장은 강기정 광주시장 후보 시절 싱크탱크인 더큐브정책연구소장과 광주시장직 인수위원장을 맡아 시정 밑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현재 대통령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 위원과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