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하 광주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신임 단장이 챗GPT로 작성된 취임사를 통해 AI사업단의 구체적인 직무 계획과 직무 비전을 밝혀 눈길을 모았다.
김준하 신임 단장은 9일 취임식을 통해 챗GPT로 원고를 작성했다고 밝힌 뒤 "AI 데이터센터와 AI 산업융합 실증 센터 운영 등을 통해 국가 인공지능 산업 발전의 속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또 사업계획을 브리핑하듯 구체적으로 국내외 동향과 인공지능산업 직무 계획 및 사업단 직무 비전을 직원들에게 발표했다.
그는 “광주에 인공지능 산업융합 생태계를 확산시켜 세계가 주목하는 ‘AI-밸리’를 조성하겠다”라며 “AI 스타트업의 국내외 시장 진출을 촉진해 관련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고 AI로 인한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AI 전문 인재를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사업단 법인 전환과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부서별, 직급별 다양한 소통 채널을 통해 끊임없이 소통하며 삶이 행복한 일터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단장은 재단법인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의 심사를 거쳐 지난 6일 최종 선임됐다. 임기는 2024년 12월31일까지다. 고려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 어바인에서 공학 석·박사를 취득했다.
화학·환경공학 영역에서 AI 및 알고리즘 개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국제저널 87편, 저서 4권, 지적재산권 22건, 수행과제 320억 규모의 연구를 진행했다. 또 과학기술정통부 한국연구재단 도시환경전문센터장을 맡아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연구·산업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과 국토해양부 해수담수화플랜트사업단장으로 지능형 공정최적화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20여년간 광주과학기술원(GIST)에 재직한 지역 통이기도 하다.
한편 김 단장은 강기정 광주시장 후보 시절 싱크탱크인 더큐브정책연구소장과 광주시장직 인수위원장을 맡아 시정 밑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현재 대통령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 위원과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aitimes.com
- 광주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에 김준하 GIST 교수 선임
- 광주시, 엘비스와 뇌 산업 육성 협력위한 업무협약
- 광주시, 클라우드 기반 행정 혁신 추진
- 광주시, 국제회의복합지구 메타버스로 구현한다
- 광주·전남, 첨단산업 특화단지 기술로 '시스템반도체' 선정...산업부 심사 신청
- 광주시, ETRI와 미래산업 대응 업무협약
- GIST–인하대, 유인우주시대 대응 위한 학술교류 협력
- 광주, 차세대 지능형반도체 기술개발 2단계 사업 선정
- 광주시, 100만평 미래차 국가산단 유치
- 퍼즐에이아이, AI '보이스 EMR' 국내 계약 이어 미국서 기술검증
- GIST, 4배 더 오래 쓰는 리튬금속배터리 핵심기술 개발
- 광주 AI 전문가 자문단 출범
- 광주시, 'C-Lab 아웃사이드 광주' 대상 기업 5개 선정
- ‘AI 사관학교’ 4기 교육생 경쟁률 2.4대 1
-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지역특화콘텐츠개발’ 기업 모집
- GIST 제9대 총장 선임 부결
- "AI 스타트업 투자지원 확대하겠다"...김준하 AI산업융합사업단장
- 호남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청년창업지원 AI창업스쿨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