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훈 UNIST 총장(왼쪽)과 남석우 삼성전자 제조담당 사장이 울산과학기술원 경동홀에서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협약식을 가졌다. (사진=삼성전자)
이용훈 UNIST 총장(왼쪽)과 남석우 삼성전자 제조담당 사장이 울산과학기술원 경동홀에서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협약식을 가졌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대표 한종희, 경계현)는 반도체 전문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해 국가 반도체 생태계를 강화하고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울산과 대구, 광주 등 3개 과학기술원과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하기로 협약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과학기술원(DG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 세 곳은 올해 하반기부터 신입생을 선발해 내년 3월부터 계약학과를 운영할 계획이다.

선발 인원은 UNIST 40명, DGIST 30명, GIST 30명 등 연간 100명으로, 삼성전자와 세 곳은 5년간 반도체 인재 총 500명을 양성할 예정이다.

신설 반도체 계약학과는 학사·석사 교육을 통합한 최초의 ‘학·석 통합 반도체 계약학과’ 과정으로 운영되며, 교육 기간은 총 5년이다.

특히 반도체 미세화 한계 돌파를 위한 반도체 공정 기술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번에 신설되는 지방 반도체 계약학과 3곳의 교육 과정은 반도체 공정 제어 기술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국양 DGIST 총장(왼쪽)과 남석우 삼성전자 제조담당 사장이 대구과학기술원 컨벤션홀에서 협약식을 가졌다. (사진=삼성전자)
국양 DGIST 총장(왼쪽)과 남석우 삼성전자 제조담당 사장이 대구과학기술원 컨벤션홀에서 협약식을 가졌다. (사진=삼성전자)

학생들은 반도체 클린룸 실습 등 ‘현장 중심 교육’을 받게 되며, 반도체 설계와 S/W 등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융합 수업도 병행한다.

반도체 설계 및 소프트웨어 전문가를 길러내기 위해 만들어진 기존 반도체 계약학과에 더해 공정 전문가를 육성하는 계약학과 3곳이 신설, 삼성전자는 계약학과를 통해 ▲설계 ▲소프트웨어 ▲공정 등 반도체 핵심 분야의 인재를 골고루 양성해 내는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재용 회장은 반도체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 어렵고 힘들 때일수록 더 과감하고, 더 적극적으로 미래를 준비하자”고 말했다.

또 이번 협약에 따라 삼성전자가 국내 대학과 운영하는 반도체 계약학과는 전국 7곳으로 늘어났다. 지난 2006년 성균관대를 시작으로 연세대(’21년), KAIST(’22년), 포항공대(’23년)와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해 왔다.

삼성전자는 학생들에게 반도체 산업 현장에서 인턴으로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삼성전자 임직원들도 멘토로 참여한다. 또 등록금을 전액 부담하고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계약학과 학생에 졸업 후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취업을 보장하고 있다.

매년 반도체 전문가 260명을 양성하던 기존 일부 계약학과도 정원을 확대할 예정으로, 신설 계약학과 학생이 졸업하는 2029년부터는 매년 7개 반도체 계약학과에서 반도체 전문 인재 450명이 배출될 예정이다.

또 지역 반도체 전문 인재 육성으로 우수 인재들의 ‘수도권 쏠림’이 완화되고, 수도권 이외 지역의 반도체 산업 생태계가 함께 성장하는 체계가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박래길 GIST 총장직무대행(왼쪽)과 송재혁 삼성전자 DS부문 CTO 사장이 광주과학기술원 오룡관에서 열린 협약식에 참석했다. (사진=삼성전자)
박래길 GIST 총장직무대행(왼쪽)과 송재혁 삼성전자 DS부문 CTO 사장이 광주과학기술원 오룡관에서 열린 협약식에 참석했다. (사진=삼성전자)

한편 삼성전자와 GIST, DGIST, UNIST는 27일 회사와 학교 관계자 및 해당 지역자치단체장과 국회의원 등 내외빈이 참석한 가운데 광주, 대구, 울산에서 각각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협약식을 가졌다.

송재혁 삼성전자 DS부문 CTO는 “서울·대전·포항에 이어 대구·광주·울산에도 반도체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거점을 마련하게 됐다. 이는 반도체 강국이라는 위상에 걸맞은 인재를 지속 확보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루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래길 GIST 총장직무대행은 “반도체 계약학과가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지역 균형 발전과 창의적인 인재 양성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GIST의 우수한 교육·연구 자원과 삼성전자의 세계적인 기술력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양 DGIST 총장은 “DGIST는 국내 최고 수준의 반도체 연구·교육 인프라를 활용해 산업 현장에서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반도체 전문가를 양성해 나가겠다. DGIST의 반도체 전문가가 지역 내 신산업을 창출하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용훈 UNIST 총장은 “지난 2021년 개원한 반도체 소재부품대학원, 차세대 반도체 연구단과 함께 이번에 신설된 반도체 계약학과가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UNIST 개교 이후 울산의 연구개발지수가 상승하고 울주군 인구가 15% 증가하는 등 지역 발전에도 이바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