칩 제조업체들이 생성 인공지능(AI)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센터용 그래픽처리장치(GPU) 개발 경쟁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기업들이 생성 AI를 앞다퉈 도입하면서 데이터센터의 컴퓨팅 역량을 확충하는데 필요한 GPU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센터용 GPU 시장 점유율은 엔비디아가 80%, AMD 20%로 추정된다. 여기에 인텔이 지난달말 자체 개발한 고성능 GPU인 ‘폰테 베키오’를 공개하며 경쟁을 예고했다.
이에 AMD는 '가장 진보된 GPU'라고 주장하는 신제품 ‘MI300X’를 올해 말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1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CNBC 보도에 따르면 리사 수 AMD CEO는 이날 "새 칩과 AMD의 CDNA 아키텍처는 대형언어모델과 다른 최첨단 AI 모델용으로 설계했다"고 소개하면서 "데이터센터 GPU 시장 규모는 올해 300억달러(약 38조2000억원)에서 연평균 50% 성장해 2027년에는 1500억달러(약 191조30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망했다.
AMD가 발표한 ‘MI300X’는 최대 192GB의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어서 큰 AI 모델에 적용할 수 있으며, 8개를 결합한 ‘인피니티 아키텍처’도 제공한다.
데이터센터용 GPU는 최근 수요 증가에 따라 가격도 폭등했다. 엔비디아의 H100은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이베이에서 지난해말 3만6000달러(약 4700만원)에 팔렸으나 지난달 중순 엔 4만7000달러(약 6000만원)으로 10000달러 이상 값이 올랐다.
AMD는 새 칩의 가격은 밝히지 않았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GPU가격이 내려가면 생성 AI 서비스 개발과 유지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AMD가 새 칩을 엔비디아 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한다면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병일 기자 jbi@aitimes.com
- 인텔은 GPU, 엔비디아는 CPU 내세운 슈퍼컴퓨터 공개
- MS-AMD, AI 칩 개발 맞손
- MS, GPU 부족으로 타사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임대
- 생성AI 돌풍으로 'H100' 가격 폭등...대당 최대 6000만원 호가
- 시스코, GPU 32000개 연결 가능한 새 장치 출시
- '꿩 대신 닭'...엔비디아 GPU 대체재로 AMD칩 부상
- 엔비디아, AI 칩 시장 90% 이상 점유할 것
- 엔비디아 ‘쿠다’ 대안 개발한다…모듈러, 8000억 가치로 투자 협상
- "AI 통한 비즈니스 성장 및 투자 확대 기대"...AMD 설문조사 결과 발표
- '쿠다' 대안 제작하는 모듈러, 1300억 투자 유치
- AMD, 방사능에 강한 '우주공간용' 엣지 AI 칩 출시
- AMD, 스타트업 인수로 AI 강화..."엔비디아 추격 위한 SW 생태계 구축"
- AMD, MI300 라인업 공개..."엔비디아 H100 따라잡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