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미국의 '중국 투자 제한 조치'를 면밀히 분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영국이나 독일 등 일부 국가는 적극적인 동참을 예고했다.
로이터는 10일(현지시간) EU 집행위원회 대변인이 입장문을 통해 "우리는 미국이 발표한 행정명령에 주목하고 있으며, 미 행정부와 긴밀히 접촉 중"이라며 "이와 관련한 지속적인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고 한 내용을 공개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9일 미국 자본이 중국의 첨단 반도체, 양자 정보 기술, 인공지능(AI) 3대 분야에 투자하려면 의무적으로 신고하고, 특정 투자에 대해서는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보도에 따르면 EU가 이번 입장 발표를 통해 미국의 정책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최근 EU의 흐름은 미국과 일치한다는 분석이다.
EU는 지난 6월 '경제안보전략' 추진을 공식화하고 양자기술, 첨단 반도체, AI 등 민감한 기술을 보유한 EU 기업의 과도한 제3국 투자에 제동을 걸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이를 위해 EU 회원국 전문가로 구성한 협의체를 꾸려 연말까지 해외 투자와 관련된 안보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조처를 마련한다는 구상인데,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조치다.
또 중국과의 무역에서 의존도를 낮추고 불공정 무역 관행을 바로잡으려는 EU의 '위험 제거(de-risking)’ 정책과도 맞닿아 있다.
특히 독일 경제부 대변인은 이날 “투자 금지 조치를 평가하려는 EU의 움직임에 주목하고 이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역시 바이든의 행정명령에 대응할 방법을 검토하고 있으며, 잠재적인 국가 안보 위협을 계속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리시 수낵 총리실 대변인은 "바이든 행정부의 행정명령은 미국의 접근 방식에 대한 명확성을 제공한다. 영국 역시 일부 투자에 관한 잠재적인 국가 안보 위험을 계속 평가하고 새로운 조치를 면밀히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