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인공지능(AI) 전문 로민(대표 강지홍)은 특허청의 ‘AI 기반 심판방식업무 자동화’ 1차 사업을 완료하고 현재 2차 사업도 함께 진행 중이라고 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특허청 ‘디지털 특허심판시스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민원인이 제출한 171여종 심판서류의 형식적 하자 여부를 점검하는 심판방식업무에 로민의 ‘텍스트스코프 스튜디오(Textscope® Studio)'를 적용하는 내용이다.
기존 심판업무는 다양한 양식의 첨부서류를 심사관이 육안으로 점검했으나, 텍스트스코프의 AI 광학문자인식(OCR)기술을 적용하면 업무 정확성을 높이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로민의 기술은 기존의 OCR기술로 인식하기 어려운 저화질 문서, 비정형문서, 필기체 문서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강지홍 로민 대표는 “특허행정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어서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라며 “특허청을 비롯해 국가기록원, 국립보건연구원 등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유사한 업무 방식을 가진 다양한 공공기관의 문서 업무 자동화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 로민 “AI 문서 플랫폼 개발의 핵심은 사용자 편의성”
- 로민, ‘텍스트스코프 Doc 파서’ 출시…"RAG 위한 문서데이터 처리 효율화"
- 로민, HUG에 '이미지 개인정보 탐지' 솔루션 탑재
- 로민, 미래에셋에 도큐먼트 AI ‘텍스트스코프 스튜디오’ 공급
- 로민, 가트너 '지능형 문서 플랫폼' 톱 퍼포먼스 기업 선정
- 로민, AI 문서 이해 기술로 2년 연속 ‘이머징 AI+X 톱 100’ 선정
- 로민-리파인, AI OCR로 임대차 계약서 ‘전세 대출 사기’ 차단
- 로민, 문서 AI 기술로 엔비디아 지원 프로그램 선정
- 에이트테크, 폐기물 AI 로봇으로 국내 기업 최초 WIPO 글로벌어워즈 수상
- 로민, ‘한국컴퓨터비전학회’ 골드 스폰서 참가
- 특허청-LG AI연구원, 특허심사에 AI 기술 적용 가능성 검토
- [신년사] 강지홍 로민 대표 "공공·중소기업 사용자 확대 및 성능 개선 목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