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일론 머스크 CEO가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규제안에 찬성 의사를 표명했다. AI 기업 관계자 중 이 법을 지지한 인물은 그가 거의 유일하다.

로이터는 26일(현지시간) 머스크 CEO가 X(트위터)를 통해 캘리포니아주가 이달 말 예정된 투표에서 AI 규제법, 일명 'SB 1047'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나는 20년 이상 AI 규제를 옹호해 왔다. 이는 대중에게 잠재적 위험이 되는 모든 제품과 기술을 규제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이 법은 캘리포니아에서 AI를 서비스하는 모든 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첨단 모델에 대한 안전 보호 장치를 마련하고 AI 학습에 사용한 데이터를 공개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오픈 소스 모델도 악용될 경우, 파운데이션 모델 제공 기업이 책임을 지게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때문에 빅테크는 물론, 오픈 소스 진영에서도 격렬하게 반발했다. 심지어 오픈AI는 법이 통과될 경우, 캘리포니아를 떠날 수도 있다고 암시했다.

이제까지 이 법안에 찬성 의사를 밝힌 사람은 제프리 힌튼이나 요슈아 벤지오와 같은 AI 종말론자 정도였다. 여기에 머스크도 합류한 것이다. 이들은 지난해 3월 첨단 AI 모델 개발을 6개월 연기해야 한다는 성명에도 동참했었다.

한편, 머스크는 정작 캘리포니아의 성 소수자 정책이 싫다며 최근 X의 본사를 샌프란시스코에서 텍사스로 옮겼다. 그는 대표적인 극우파이자 백인 우월주의자로 알려져 있다.

더불어 이날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 어도비 등은 캘리포니아주의 또 다른 AI 규제안 'AB 3211'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 법안은 AI에 대한 전반적인 규제를 다룬 것이 아니라, 생성 AI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포함한 안이다.

이 과정에서 오픈AI는 자신의 논리와는 모순된 행보를 보이게 됐다. SB 1047 반대 의사를 밝힐 당시에는 "AI 규제안을 만드는 것은 연방 정부의 역할"이라고 주장했으나, 캘리포니아주가 AB 3211을 제정하는 데에는 찬성한 것이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