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트릴리온랩스)
(사진=트릴리온랩스)

한국어 기반 대형언어모델(LLM)을 개발하는 트릴리온랩스(대표 신재만)가 420만 달러(약 57억원) 규모 프리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스트롱벤처스 리드로 카카오벤처스, 베이스인베스트먼트, 더벤처스, 미국소재 굿워터캐피탈 및 뱀 벤처스가 참여했다.

트릴리온랩스는 양질의 언어 데이터를 확보하고 기술 고도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연내 한국어를 가장 정확히 이해하고 답하는 LLM 파운데이션 모델을 완성한다는 구상이다. 

트릴리온랩스는 대규모 한국어 데이터로 사전 훈련된(Pre-trained) 모델로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생성 AI를 만들 계획이다. 네이버 하이퍼클로버X 개발 핵심 연구원으로 참여한 신재민 대표를 주축으로 국내와 해외 대학에서LLM 모델을 설계하고 연구를 이어온 인재들로 꾸려진 팀이다. 

신 대표는 2017년부터 자연어 처리 및 LLM 관련 연구를 지속했다. 세계 권위의 자연어 처리 학회인 ACL, EMNLP와 세계적 AI 학회 ICLR 등에 논문을 발표해 왔다. 최근 발표한 합성 데이터 관련 논문으로 국내에서 손꼽히는 LLM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투자를 이끈 신득환 스트롱벤처스 책임 심사역은 "트릴리온랩스는 한국어를 기반으로 한 LLM을 통해 소버린 AI를 구현할 수 있는 팀”이라며 "장기적으로 한국의 AI 산업뿐 아니라 AI가 활용되는 모든 영역에서 이질감 없는 혁신을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신재민 트릴리온랩스 대표는 “AI 주권을 확보하지 못하면 타 국가 대비 부족한 AI 성능만 활용해 AI 시대를 맞이해야 할 것"이라며 “트릴리온랩스가 만들어낼 한국형 LLM을 통해 AI 선진국으로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생성AI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소외 받는 언어권인 동북아시아도 시장 선두를 이끌 수 있다는 걸 보여주도록 성장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