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배이)
(사진=픽사배이)

산업통상자원부(안덕근 장관)는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개발 및 조기 상용화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을 주제로 업계·학계·전문기관 등이 참여하는 ‘차세대 태양전지 조기 상용화 TF’ 회의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협의체는 현재 태양광 가치사슬 전반에서 특정 국가 지배력이 확대되고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 경쟁력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미래 유망기술 선점을 통해 산업기술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구성됐다고 전했다.

특히 탠덤형 차세대 태양전지는 현재 시장을 주도하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이 양산 한계효율(27%)에 근접(25~26%)함에 따라, 한계 돌파를 위한 차세대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탠덤 전지는 결정질 실리콘 위에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중접합해 실리콘과 페로브스카이트가 서로 다른 영역 대의 빛을 흡수함에 따라 이론한계 효율(잠재효율 44%) 및 안정성을 극대화한 기술이다.

이에 따라, 영국, 독일, 중국 등 세계 각국은 미래시장 선점으로 유망한 기술인 초고효율 탠덤 등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경쟁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도 대면적 탠덤셀 상용화 양산을 목표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사진=한화큐셀)
(사진=한화큐셀)

이번 회의는 지난 1월 착수회의 이후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개발 방향에 대한 수차례 실무회의를 거쳐 차세대 태양전지의 기술개발과 조기상용화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재승 기자 energy@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