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새 행정부에 실리콘밸리와 벤처캐피탈 분야의 주요 인사들을 연이어 임명하고 있다. 테크업계와 끊임없이 갈등을 빚었던 1기 집권 때와는 다른 양상으로, 실리콘밸리의 영향력이 새 행정부에서 크게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CNBC는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이 차기 인사관리국장에 앤드리슨 호로비츠 의 스콧 쿠퍼 파트너를 지명했다고 보도했다.
인사관리국은 공무원 채용을 담당하는 부서로, 정부효율부(DOGE)와 협업할 것으로 보인다. 쿠퍼는 지명 후 X(트위터)에서 “머스크와 비벡 라마스와미를 도와 연방 정부의 효율성을 핵심 원칙으로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같은 날, 스리람 크리슈난 앤드리슨 호로비츠 총괄 파트너를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인공지능(AI) 수석 정책 고문으로 임명했다. 크리슈난 고문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 트위터, 스냅 등에서 경력을 쌓은 인물로, 머스크 CEO가 2022년 트위터를 인수한 직후부터 긴밀히 협력해온 인물이다.
이 외에도 페이팔 공동 창업자인 켄 하워리 파운더스펀드 공동창업자를 덴마크 대사로 지명했으며, 마이클 크라치오스 전 백악관 CTO를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으로 임명했다. 데이비드 색스 전 페이팔 COO를 백악관 'AI 차르'로,전 우버 임원인 에밀 마이클을 연구 및 엔지니어링 차관으로 임명했다.
이는 교수나 관료 출신들이 요직을 차지하던 과거와는 달라진 모습이다.
실리콘 밸리는 당연히 호의적인 반응을 내놓았다. 에런 레비 박스 CEO는 "새 정부가 기술을 지원하는 모습을 보여 기쁘다"라며 “기술에 집중하는 강력한 리더들이 정부에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데이비드 마르커스 전 메타 임원도 "탁월한 선택"이라고 평가했다.
빅테크 CEO들도 잇달아 트럼프 당선인을 지지하며 첫번째 임기 때와는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마존, 메타, 구글, 오픈AI, 퍼플렉시티 등은 각각 100만달러를 트럼프의 취임 위원회에 기부했다고 밝혔다. 또 실리콘밸리 경영진은 잇달아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있는 트럼프의 마라라고 리조트를 방문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