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 (사진=구글 딥마인드)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 (사진=구글 딥마인드)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는 중국에서 개발한 인공지능(AI) 딥시크에 대해 "과장됐다"는 평가를 내놨다.

허사비스 CEO는 9일(현지시간) 가 파리에서 열린 AI 액션 서밋에 앞서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딥시크 챗봇이 아마 중국에서 나온 최고의 제품일 수 있지만, 새로운 과학적 진보는 보여주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딥시크는 지난달 선도적인 AI 기업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훈련됐으며, 엔비디아의 최고급 칩이 아닌 저사양 칩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이 발표는 글로벌 기술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고, AI 인프라 구축 비용의 적정성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다.

허사비스 CEO는 이에 대해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하지만 "현재 알려진 AI 기술을 활용한 모델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기술적으로 보면 큰 변화는 아니다"며 "딥시크에 대한 광고는 다소 과장됐다"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최근 등장하는 주요 기술리더들은 딥시크의 효율성은 인정하지만, 이는 기존 오픈 소스 기술의 연장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얀 르쿤 메타 수석과학자도 "딥시크는 중국의 성과가 아니라, 오픈 소스의 승리"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날 허사비스 CEO는 일반인공지능(AGI)에 대해서도 의견을 밝혔다. 

그는 ”이제는 가까이 와 있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그런 시스템이 구현되기까지 5년 정도 걸릴 수도 있는데, 그건 정말 놀라운 일"이라고 말했다.

또 ″사회가 그것에 대비해야 하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가질지 먼저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익을 얻는 것은 물론, 위험도 완화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