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서 주로 수입되는 휴대폰이나 컴퓨터 등 일부 소비자용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 관세를 면제했다. 이로 인해 애플은 한숨을 돌리게 됐다.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은 12일(현지시간) 컴퓨터, 노트북, 디스크 드라이브,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코드 8471을 비롯해 20개 제품에 대한 상호 관세 면제 대상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반도체 장치, 장비, 메모리 칩, 평판 디스플레이도 포함됐다.
이 때문에 아이폰 대부분을 중국에서 조립해 수입하는 애플이나 델과 같은 업체는 가격 부담을 덜게 됐다.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 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번 주말에 나온 가장 고무적인 소식"이라고 평했다.
하지만 그는 "앞으로 중국 협상에는 여전히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분명히 존재한다"라고 지적했다. 이번 조치는 특정 품목에 대한 추가 관세가 전국적인 관세율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초기 조치로 취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한 새로운 국가 안보 무역 조사를 곧 시작할 것이며, 이로 인해 다른 새로운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미국 정부는 아이폰과 같은 제품을 미국에서 제조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캐롤라인 리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반도체, 칩, 스마트폰, 노트북과 같은 중요 기술 제조에 중국을 의지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라며, 애플이나 엔비디아 같은 기술 회사들이 가능한 한 빨리 미국으로 생산 시설을 이전할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압도적이다.
이미 스티브 잡스 애플 창립자와 팀 쿡 CEO는 저렴한 인건비 때문에 중국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적인 문제로 다른 곳에서는 아이폰을 생산하기 어렵다고 밝힌 바 있다. 즉, 생산 시설이나 고급 제조 기술자들이 다른 국가에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이를 갖추려면 수십년이 걸릴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