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가 앞으로 4년간 미국에 최대 5000억달러(약 711조원) 규모의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지난 4일(현지시간) 플로리다 마러라고에서 회동한 지 열흘 만에 나온 공식 발표다.
로이터는 14일(현지시간) 엔비디아가 TSMC, 폭스콘, 위스트론 등 주요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미국 내에서 AI 하드웨어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엔비디아는 이미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TSMC 공장에서 최신 AI 전용 칩 ‘블랙웰’ 생산을 시작했으며, 텍사스 휴스턴과 댈러스 지역에는 폭스콘 및 위스트론과 슈퍼컴퓨터 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다. 공장은 약 12~15개월 이내 대량 생산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애리조나에서 앰코, SPIL 등과 협력해 칩 패키징 및 테스트 공정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AI 가속기부터 서버, 슈퍼컴퓨터 등 전반적인 하드웨어 공급망을 미국에서 자체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엔비디아는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내에서만 제조되는 첫 AI 슈퍼컴퓨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과 젠슨 황 CEO 간의 만찬 회동 이후 이뤄진 것이라 주목받았다. 당시 황 CEO는 엔비디아의 저사양 AI칩 ‘H20’의 중국 수출 제한 조치 철회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후 실제로 관련 규제가 완화됐다. 구체적인 정책 변화의 배경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엔비디아의 대규모 미국 내 투자 계획이 주요 요인이 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대해 “엔비디아가 관세를 고려해 이런 투자 결정을 내렸다”라며 “AI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분야를 거의 장악한 엔비디아의 이번 발표는 가장 중요한 소식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다만, 일부에서는 이번 투자 발표가 실제 공장 건설보다는 협력사들에 대한 발주 규모를 강조한 ‘상징적 의미’에 가깝다는 분석도 나온다. 블룸버그는 “5000억달러라는 금액은 엔비디아가 향후 AI 공급망에 판매할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들의 총가치”라며, 실질적인 공장 설립보다는 계약 및 발주 중심의 투자일 수 있다고 전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