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덕 데이터이쿠(Dataiku®) 한국지사장이 9일 토크아이티 스튜디오에서 데이터이쿠의 플랫폼을 소개했다.(사진=데이터이쿠)
김종덕 데이터이쿠(Dataiku®) 한국지사장이 9일 토크아이티 스튜디오에서 데이터이쿠의 플랫폼을 소개했다.(사진=데이터이쿠)

"데이터이쿠(Dataiku) 플랫폼은 머신러닝 최적화(MLOps)로 시작해 AI 에이전트까지 제공하는 통합 AI 플랫폼으로, 편리한 AI 도입을 지원합니다."

김종덕 지사장이 설명하는 '통합 AI 플랫폼(The Universal AI Platform)'은 데이터 분석과 AI모델 뿐만 아니라 실제 실행까지 가능한 에이전트 적용까지 통합한다는 의미다.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를 통해 여러 대형언어모델(LLM)과 비전AI를 활용, 원하는 업무를 자동화하는 AI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다.  

김종덕 지사장은 "데이터이쿠 플랫폼의 가장 큰 장점은 편리한 사용성"이라며 기업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노코드, 로우코드, 풀코드 등 여러 옵션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금융, 의료, 제조 등 여러 산업군의 전문가들이 데이터사이언티스트나 AI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쉽게 데이터 전처리부터 AI 솔루션의 배포까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엑셀을 이용한 단순 분석업무를 하거나 생산라인에서 근무하는 사용자도 노코드 기반의 데이터이쿠 플랫폼을 활용하면, 기존에 하기 어려웠던 데이터처리나 예측/분류 모델을 일상 업무에 적용할수 있다.

또 "데이터이쿠 플랫폼은 오픈소스 모델을 포함한 다양한 AI 모델 중에서 가장 적합한 모델을 추천, 사용자들이 성능과 비용 측면에서 최상의 솔루션을 객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라며 "기업이 구현하려는 생성AI 또는 AI 에이전트 활용 사례에 가장 적합한 LLM, 데이터 클라우드, 인프라 벤더를 선택할 수 있는 중립적(Agnostic)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AI전문가들에게도 데이터이쿠의 '시각화'가 유용하다. 김 지사장은 "여러 모델을 실험적으로 만들어도 실제 현업에서 유용한 모델은 소수"라며, 데이터이쿠의 플랫폼은 사내에서 개발해놓은 여러 AI 도구를 시각화해 쉽게 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게 지원한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AI 모델과 분석을 기획, 개발, 배포하는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삼성화재의 경우, 금융기관의 특성상 폐쇄망에서 운영하는 조건으로 데이터이쿠 플랫폼을 선택했으며 향후 클라우드전환까지 진행하고 있다.

"고객사의 상황에 맞춰 온프레미스와 SaaS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라며 "기존에는 보안을 위해 온프레미스를 선택하는 고객사가 많았는데, 최근에는 중소 기업 중 SaaS 형태로 도입하는 사례도 많아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SaaS는 인프라 구축 비용 없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도입할 수 있고 데이터이쿠에서도 비용적인 혜택을 제공한다"라고 전했다.

(사진=데이터이쿠)
(사진=데이터이쿠)

김종덕 지사장은 서버, 보안 및 클라우드 등 IT 분야에서 30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전문가로, 지난해 11월 데이터이쿠에 합류했다. 그는 국내 비즈니스 환경이 도전적인 만큼 많은 기회가 있을 거라고 기대한다고 전했다. 

현재 데이터이쿠는 여러 기업들의 의사결정자들과 '아이데이션 워크샵'을 진행하며 AI를 활용한 업무 자동화와 기존 업무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있다. AI를 활용하는 아이디어는 각 기업에서 제공하고 데이터이쿠는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쉬운 사용성과 안전성을 체감할 수 있게 해주는 활동이다. 

데이터이쿠 관계자는 "워크샵 만족도가 높고 PoC에서 계약까지 이어지는 사례도 많다"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군에서 레퍼런스를 만들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일본 시장에서 데이터이쿠 플랫폼을 활용해 다양한 사용사례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일본의 고객사를 초청해 국내 기업들과 실제 사례를 공유하기도 했다.

일례로 "철도 차량의 브레이크를 잡는 타이밍을 AI모델로 분석하고 최적의 타이밍을 찾는 방식이었는데, 이를 통해 고장율을 낮추고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었다"라며, 기업의 전문 지식을 활용해 문제점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AI 사용사례가 나온다는 것을 강조했다. 

일본정부의 클라우드 추진 사업을 통해, 업계를 불문하고 많은 일본 기업들이 AI를 도입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제조 산업 분야에 AI를 도입해 기기예지보전, 이상징후탐지, 수율향상 등 적용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그외 금융과 제약업계에서 데이터이쿠 플랫폼을 활용한 AI 도입사례가 많다는 설명이다.  

김 지사장은 "운영 분야는 무궁무진하다"라며 "유의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얼마나 많은지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비정형, 정형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대량으로 처리하고 수용할 수 있는 것이 데이터이쿠 플랫폼의 강점"이라고 전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