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일론 머스크 CEO가 테슬라의 전기차에 흥미를 잃은 것은 2023년부터였으며, 그 결과로 사업성이 없다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로보택시 사업을 강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디 인포메이션은 15일(현지시간) 다수의 관계자를 인용, 머스크 CEO가 지난해 초 테슬라가 더 이상 전기차 회사가 아니라고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에 있는 테슬라 사무실에서 다양한 임원진을 소집했다. 이날 주요 의제는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대응하기 위해 2만5000달러짜리 신차 제작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이날 고위 임원들은 '모델 2'로 알려진 전기차와 로보택시를 모두 생산하자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머스크 CEO는 기존 대형 모델 Y의 일부 기능을 축소, 저렴하게 만드는 방안을 고집했다.
 
회의 석상의 분위기는 무거워졌고, 결국 측근 중 한명이 "반란이 일어났나"라고 지적하기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머스크 CEO는 전기차 생산을 포기하고 인공지능(AI) 기업으로 전환하겠다고 결정했다. 전기차는 계속 생산하겠지만, 이를 확장하는 것은 더 이상 관심사가 아니라는 결론이다. 이후 테슬라에서는 모델 2 개발을 주장했던 고위 임원 3명이 회사를 떠났다.

당시 퇴사한 로한 파텔 글로벌 사업 담당 부사장은 "당시에도 FSD(완전 자율주행)와 로보택시의 투자 회수가 매우 어렵다는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라며 "하지만 그는 분석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을지 전혀 알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라고 밝혔다.

이런 결정을 내린 것은 회사의 실적보다 인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우선하는 그의 성향 때문으로 알려졌다.

여러 관계자에 따르면, 그는 2023년 모델 Y가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자동차가 됐고 테슬라가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기업 중 하나가 되며 전기차 분야에서는 더 이룰 것이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트위터를 인수한 것도 이 시점이다.

테슬라의 초기 멤버인 진 베르디체프스키 실라 나노테크놀로지스 CEO는 "그의 알고리즘은 '내가 할 수 있는 다음 큰 일은 무엇일까'라는 것"이라며 "그는 크고 영향력 있는 일을 하는 데 동기를 부여받는다고 생각한다"라고 전했다.

이후 테슬라에서 독특한 디자인의 사이버 트럭을 개발했지만, 관심은 AI와 로봇, 로보택시로 완전히 넘어갔다. 지난해에는 GPU 10만개를 투입한 세계 최대의 데이터센터 '콜로서스'를 단기일 내 구축해 주변을 놀라게 했다. 이후에는 정치로 관심을 돌려,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 효율성 부서(DOGE) 수장에도 올랐다.

이 때문에 유명 분석가인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 부사장은 머스크 CEO가 정치를 그만두고 무너진 브랜드를 재구축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로보택시 '사이버캡' (사진=셔터스톡)
로보택시 '사이버캡' (사진=셔터스톡)

또 이 과정에서 로보택시 사업이 테슬라 내부에서도 희망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는 것이 강조됐다. 테슬라 내부 분석에 따르면 로보택시의 연간 판매 예상은 100만대 이하로, 이는 웨이모나 다른 경쟁자들의 로보 택시를 모두 합친 것이다. 따라서 테슬라가 2024년 미국에서 판매한 63만대를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로보택시는 각국의 규제 상황에 의존하기 때문에 향후 몇년 간은 해외 판매가 어려울 것으로 예측됐다. 또 규제가 풀린다고 해도 저렴한 중국산 차량을 선호할 것으로 보기 때문에 결국 로보택시는 수익성이 없는 사업으로 결론 내려졌다. 그러나 머스크 CEO는 이를 무시했다.

이후 머스크 CEO는 2024년 4월에 열린 분기 실적 발표에서 "테슬라는 AI와 로봇 회사로 봐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는 그가 정치에서 물러나고 테슬라로 돌아와도 전기차에는 더 이상 관심을 가지지 않을 것을 의미한다는 말이다. 또 최근에는 머스크 CEO를 반대하는 시위도 벌어지고 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