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 마라톤 대회가 열렸다. 인간을 이기지는 못했지만, 중국 로봇 산업의 빠른 발전상을 보여줬다는 주장이다.

중국 국영 매체인 CGTN은 19일 베이징 이좡 지구에서 열린 하프 마라톤 대회에 휴머노이드 로봇과 1만2000명의 인간 주자들이 달리는 모습을 생중계했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21km 코스에서 인간과 경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대회에는 기업과 대학에서 21대의 휴머노이드를 출전시켰다. 크기와 형태는 다양했는데, 작은 로봇은 75cm에 불과했지만 가장 큰 것은 1.8m에 달했다. 한 회사의 로봇은 사람 같은 외모에 윙크할 수 있다고도 홍보했다.

로봇들은 시외에서 출발한 뒤 완만한 경사와 구불구불한 코스를 통과한 뒤 결승선에 도달할 수 있었다. 또 넘어지는 사고에 대비해 인간 보조자가 함께 달렸으며, 일부는 리모컨으로 조종됐다. 목줄에 묶인 로봇도 목격됐다.

인간이 물을 마시는 것처럼 로봇은 경기 중 배터리를 갈아 끼울 수 있었다. 또 로봇이 더 이상 경기에 참여할 수 없을 때 대체품으로 교체할 수 있었는데, 이 경우 10분의 페널티를 줬다.

결승선을 가장 먼저 통과한 로봇은 베이징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 센터(BHRIC)가 대회를 위해 맞춤 개발한 '티앙궁 울트라(Tiangong Ultra)'로, 2시간40분 만에 결승선을 통과했다. 이 로봇은 배터리를 3번 교체했다. 

이번 기록은 우간다 출신 제이콥 키플리모가 보유한 56분42초의 기록보다 거의 2.7배 느린 것이다. 이날 남자부 우승자는 1시간2분을 기록했다.

또 지정된 4시간 안에 경주를 완주한 로봇은 4대에 불과했으며, 일부는 쓰러져 산산조각이 났고 머리가 떨어져 바닥에 구르는 경우도 있었다. 

BHRIC는 이번 경쟁에서는 인간에게 밀렸지만, 이 로봇이 서구의 로봇과 맞먹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 역시 중국의 휴머노이드 성능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열린 것이다.

당초 이 경기는 지난 주말 열릴 예정이었으나, 강풍 예고로 인해 1주일 미뤄진 것이다. 관계자들은 로봇들이 강풍과 같은 조건에서 학습하지 않았기 때문에 안전 위험이 있다고 판단했다. 

이처럼 최근 중국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대대적으로 선전하고 있다. 중국에서 TV에서 시청률이 가장 높은 지난 1월 춘절 갈라 쇼에는 유니트리의 휴머노이드들이 등장, 군무를 선보여 화제가 됐다. 이후 인터넷 등에는 중국 휴머노이드가 자전거를 타고 쿵푸 동장을 선보이는 영상이 인기를 끌었다.

중국 정부는 2023년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을 '기술 경쟁의 새로운 전선'으로 규정하고, 핵심 구성 요소의 대량 생산과 안정적인 공급망을 2025년까지 구축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또 지난 3월 양회에서는 2027년까지 중국이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 주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로봇 인공지능(AI)에 1380억달러(약 197조원) 규모의 신규 국영 벤처 투자 기금을 우선 투자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