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이 기술을 품을 때, 국가는 미래를 얻는다
"AI는 연산보다 전력"…기술이 아니라 '터'를 확보하는 경쟁

"AI는 어디에서 시작되고 그 중심지는 어디여야 하는가?" 국가가 AI에 100조 원을 투자하고, 디지털 주권을 국가 비전으로 내세운 지금, 단순한 기술개발보다 더 중요한 질문은 바로 이 물음에 대한 답은 전남이다.

대한민국이 AI 초강국을 지향하는 시대, 기술을 실제로 '구동'시킬 수 있는 공간은 제한적이다. 단지 첨단 기술을 확보했다고 해도, 이를 가동할 '토대'가 부실하다면 지속 가능한 산업화는 불가능하다. 그리고 지금, 이 토대를 가장 잘 갖춘 지역이 바로 전라남도다.

AI는 GPU, 빅데이터, 알고리즘이 핵심인 것처럼 보이지만, 정작 가장 큰 자원은 전력과 냉각이다. GPT-5급 모델 하나를 학습하는 데 수개월간 수백 MWh의 전력이 필요하다.

이때 중요한 것이 재생에너지 기반의 친환경 전력, 부지확보 용이성, 장기적 에너지 인프라 확장성이다.

전남은 이 모든 요소를 동시에 만족하는 전국 유일의 복합지형을 지녔다. 광활한 평야와 저개발 대지는 AI 클러스터 및 데이터센터용 대규모 부지확보가 가능하다.

지하수 활용 가능성으로 '냉각 효율 확보'가 용이하고, 풍력·태양광 연계성은 탄소중립형 에너지 가동 실현에 가장 적합하다. 

지진·기후재난 안전성에서 물리적 위험이 최소화하는 곳이고, 이는 단순한 유리한 조건이 아니라, 국가 전략시설의 지속 운용을 위한 필요조건이다.

또한 전남은 농업·에너지·관광·재난안전 등 4대 비디지털 산업이 강한 지역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비디지털'이라는 조건이 AI 융합의 최적 조건을 만든다.

농업·해양 분야는 예측형 AI의 가장 유효한 시험대이며, 에너지 산업은 스마트그리드, 수요예측, 고장 진단에 AI가 즉시 적용이 가능하다.

관광 및 문화 콘텐츠 산업은 생성형 AI, 음성인식, 실시간 번역 등의 테스트베드, 재난안전 대응은 AI 경고 시스템, 고령자 모니터링 등 사회적 실험으로 발전 가능하다. 

즉, 전남은 산업 자체가 'AI 적용 대상'이자, AI의 실증 결과를 가장 빨리 체감할 수 있는 지역이다.

AI 기업 퓨리오사를 방문하는 이재명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AI 기업 퓨리오사를 방문하는 이재명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AI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 – 전남의 절박한 구조전환

특히 전남은 인구 감소, 고령화, 청년 유출, 지역 경제의 양극화 등 중첩된 위기를 겪고 있다. 이 상황에서 AI 산업 유치는 단순한 발전 전략이 아니라, 존속을 위한 구조 전환 수단이 되고 있다.

이 점에서 전남은 수도권이나 타 광역시보다 더 정치적·사회적 절박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남이 AI 정책의 '선도 테스트 지대'가 되는 것은 합리적이자 국가 균형발전 전략에도 부합하는 방향이다.

타 지역이 AI를 '연구'하거나 '개발'의 거점으로 표방하고 있다면, 전남은 '적용과 실증'의 현장이다. 실제 땅 위에서, 실제 산업에 AI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검증하는 데 전남만큼 적합한 곳은 없다.

전남은 "인프라를 활용한 현장 검증형 AI 플랫폼"과 "공공부문에 AI 기술을 선도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사회적 수용성" 등 기본 인프라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민간기업의 실험적 기술이 정책 및 제도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행정 유연성"까지, 이러한 이점은 단기적인 투자 유치 이상으로, 전남을 AI 국정과제의 정책 실험장으로 만들고 있다.

때문에 전남은 '기술의 미래'를 논하는 곳이 아니라, '기술이 작동하는 곳'이다. 이재명 정부의 AI 구상은 기술을 넘어 삶의 재설계를 지향한다. 그리고 이 실험이 가장 먼저 시작되어야 할 지역이 바로 전남이다.

기술이 살아 움직일 수 있는 땅, 산업이 전환가능한 기반, 정책과 시장이 만날 수 있는 공간.
전남은 더 이상 수혜를 기다리는 지역이 아니다. 전남은, 대한민국 AI 전략의 현장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