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지난 2월 예고됐던 '국가 대표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이를 위해 정예팀 선발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박윤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정보통신기획평가원(원장 홍진배) 등과 함께 '독자 인공지능 기초 모형(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에 참여할 국내 정예팀 공모에 착수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지난 2월20일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발표한 'AI 정책' 계획 중 포함된 내용이다. 당시 AI 업계에 큰 관심을 끌었으나, 새 정부 출범까지 발표가 미뤄지게 됐다.
과기정통부는 이날부터 7월21일까지 최대 5팀을 선정하는 정예팀 공모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실력있는 국내 AI 기업·기관 중심의 정예팀(연합체 가능)을 대상으로 공모하며, 단계평가로 경쟁형 압축할 계획이다. 특히, AI 인재 육성 차원에서 대학생·대학원생 참여를 필수 조건으로 내걸었다.
6개월 이내 출시된 글로벌 프론티어 모델 대비 95% 이상의 성능을 목표로, 참여할 팀이 구체적인 개발 전략과 방법론을 제시해야 한다. 목표와 방법론 등은 단계평가마다 변동 목표(Moving target) 방식을 도입,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참여 팀이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필요한 자원(GPU, 데이터, 인재)을 자유롭게 제시하도록 하는 한편, 추후 평가 등으로 적정규모 검토 후 지원할 계획이다.
또 국민의 AI 접근성 증진, 공공·경제·사회 AX 등의 기여 계획을 제시하도록 해 선정평가에 반영할 방침이며, 참여기업 규모와 오픈 소스 수준에 따라 연계 비율이 차등화될 예정이다.
평가와 선정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올해 12월부터 이뤄지는 6개월 단위 단계평가의 경우, 경연 방식의 국민·전문가 평가, 국내외 벤치마크와 한국어 성능·안전성 검증체계 기반의 검증평가, 미세조정을 통한 파생 모델 수 평가 등이 연계되는 입체적 평가를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정예팀에 모델 개발을 위한 GPU와 데이터, 인재를 종합 지원한다.
GPU는 올해부터 2026년 상반기까지는 민간이 보유한 시설을 임대하고(1차 추경, 1576억원 규모), 이후에는 정부 구매분(1차 추경, GPU 1만장)을 활용하는 등 팀당 GPU 500장부터 단계평가를 거쳐 1000장 이상을 지원할 예정이다.
데이터는 모든 정예팀의 저작물 데이터 공동구매와 함께 개별 정예팀의 데이터 구축·가공을 지원한다. 팀당 데이터 공동구매는 연간 100억원, 데이터 구축·가공은 연간 30억~50억원 규모로 지원할 계획이다.
인재는 정예팀이 해외 우수 연구자를 주도적으로 유치할 경우, 인건비와 연구비 등 필요 비용을 정부가 연계 지원하며, 연간 20억원 규모로 이뤄진다. 특히 인재 지원은 인재 확보의 연속성 차원에서 정예팀 압축과 관계없이 2027년까지 지속 지원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정부는 오픈 소스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국내 AI 생태계에 확산해 나간다는 의도다.
정예팀이 국민 AI 접근성 증진과 공공·경제·사회 인공지능 전환 지원 계획을 제시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정부도 연계해 이를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또, 인공지능 안전연구소와의 협업을 통해 독자 모델의 안전성 검증을 뒷받침하는 한편, '한국형 인공지능 모형(K-AI 모델), 한국형 인공지능(K-AI) 기업' 등의 명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공신력 강화와 해외 시장 진출 가속화를 도모한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 사업은 단순한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넘어 인공지능 시대 기술주권 확보, 모두의 성장을 도모하는 생태계 구축이 목표”라며 “이를 통해 국내 최고 수준의 정예팀들이 도전해 세계적 수준의 모델을 확보하고 확산함으로써,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모두의 AI’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 [2월24일] 국내에 GPU 100만장이 생긴다면 딥시크 같은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까
- "정부의 AI 국가대표팀 구성, 실효성이 최우선"
- 정부 "글로벌 톱 수준 LLM 개발 위해 국가대표팀 구성"
- 과기정통부, ‘국산 AI 파운데이션 모델’ 데이터 제공 협력기관 모집
- 배경훈 LG AI연구원 원장·한성숙 네이버 고문, 장관 후보자 지명
- '리더보드 세계 1위' 업스테이지·모티프, ‘K-AI 모델’ 프로젝트 도전
- '국대 AI 모델' 구축에 컨소시엄 15곳 신청..."기대 이상 뜨거운 경쟁"
- 워트인텔리전스, K-AI 도전 기업 기술 특허 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