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정부가 국내 인공지능(AI) 정예팀을 선발, 글로벌 톱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정책브리핑을 통해 'AI 정책' 계획을 발표하며, 이같은 계획을 전했다. 이날에는 최상목 권한대행 주재로 관계부처 장관, 민간 전문가 등 4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개최됐다.

이경우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지원단장은 브리핑에서 "최근 주요국의 대규모 AI 투자계획 발표, 중국의 딥시크 사례 등 새로운 글로벌 경쟁 환경을 면밀히 진단하고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범국가적으로 시급히 추진해야 할 정책 과제를 논의했다"라며 "인재 확보, 인프라 구축, AI 산업화를 전면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특히 "AI 국가대표 정예팀을 선발해 글로벌 톱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을 목표로 데이터 및 GPU 등 연구자원을 집중 지원하고, 정예팀에 필요한 글로벌 AI 핵심인재를 유치할 수 있도록 연구비 등 지원을 확대하겠다"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방법과 지원 규모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2026년 상반기까지 총 1만8000장 규모의 고성능 GPU 확보하겠다는 계획과 맞물린다.

정부는 연내 고성능 GPU 1만장을 확보해 국가 AI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조기 개시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GPU 8000장 상당의 슈퍼컴 6호기를 구축한다고 밝힌 바 있다.

참고로 메타는 지난해 7월 출시한 '라마 3.1' 개발을 위해 1만6384개의 엔비디아 'H100' GPU가 탑재된 클러스터에서 54일 동안 훈련을 진행했다.

이어 분야별 AI 서비스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해 기업 간 협력을 통한 AI 모델 공동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조 AI 전문기업 100개를 지정해 기업당 최대 100억원 규모의 융자-보증 등 자금, 인력, 판로 확대를 집중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산업 및 업종별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더불어 2027년까지 약 3조원 규모의 AI 스타트업 집중형 펀드를 조성 및 운영해 자금 지원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미디어, 산업-제조, 금융 등 분야별 특화 데이터를 구축 및 개방하고 공공연구데이터, 법령 해석, 심결례 등 AI 수요가 높은 공공데이터 개방도 확대하겠다고 전했다. 또 AI 학습 저작물 활용을 위해 해외 사례를 분석하고 AI 산업계와 저작권 업계가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국가AI위원회를 중심으로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측은 "정책 추진을 통해 AI G3로 거듭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