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기업들과의 연루 의혹을 제기하며 립부 탄 인텔 CEO의 즉각적인 사퇴을 촉구했다. 기술을 통한 국가 안보가 강조되는 분위기지만, 기업 경영진에 대한 대통령의 개입은 이례적이라는 평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소셜 플랫폼 트루스 소셜을 통해 “인텔 CEO는 심각한 이해충돌 상태에 있으며, 즉각 사퇴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는 대통령이 특정 기업 CEO의 퇴진을 공개적으로 요구한 드문 사례로 꼽혔다.
지난 3월 취임한 탄 CEO는 과거 자신이 설립한 벤처캐피털 ‘월든 인터내셔널’을 통해 최소 20억달러(약 2조8000억원)를 중국의 첨단 제조 및 반도체 기업에 투자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에 휩싸였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들 기업 중 일부는 중국 인민해방군과 연계돼 있으며, 중국 국유자본 및 지방 정부 기금이 탄 CEO의 펀드와 공동 출자한 정황도 포착됐다.
톰 코튼 공화당 상원의원도 최근 인텔 이사회에 서한을 보내 과거 투자 사실과 그가 CEO로 재직했던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의 중국 수출 사건에 대한 질의서를 전달한 바 있다. 케이던스는 중국 군사 연구 기관에 핵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판매한 혐의로 최근 1억4000만달러(약 2000억원)의 벌금을 물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이후 인텔 주가는 하루 만에 3% 하락했다. 투자자 사이에서는 백악관의 기업 인사 개입 여부를 두고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을 통해 인텔에 80억달러에 달하는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국민 세금을 지원받는 만큼, 투명성이 확보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일부는 인텔이 최근 수년간 제조 경쟁력과 AI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TSMC와 엔비디아 등에 잃고 주가와 수익성이 급락한 상황에서 인텔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텔은 “탄 CEO와 이사회는 미국의 경제·안보 이익 수호를 위해 깊이 헌신하고 있으며,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인텔이 칩스 법에 따라 막대한 보조금을 받고도 오하이오주 등에 약속한 반도체 공장 건설 일정이 대폭 지연되고 핵심 공정 품질에서도 문제가 제기되며, 정치권과 여론의 압박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