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최신 GPU ‘블랙웰’의 중국 판매를 위해 백악관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협상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망했다.
황 CEO는 28일(현지시간)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블랙웰 칩의 중국 판매 문제와 관련해 백악관과 협의가 시작됐다고 밝혔다.
그는 논의에 대해 "낙관적"이라고 말했지만, 합의에 도달하는 데 정해진 기간은 없다고 전했다.
"대화에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가 미국의 기술 스택을 기반으로 AI를 구축하는 것이 미국이 AI 경쟁에서 승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라며 "그리고 그는 미국 기술이 전 세계에 퍼져서 미국 달러가 세계 표준이 되듯이 전 세계가 미국 기준으로 구축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블랙웰 칩의 성능을 30~50% 축소한 ‘다운그레이드 버전’의 중국 판매 허용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그러나 워싱턴 내 강경파들은 축소된 칩이라도 중국이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이번 분기 실적 전망에서 중국 판매분을 제외했다. 황 CEO는 “현재 H20 칩에 대해 중국으로부터 주문은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그는 중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황은 “중국 AI 시장 규모는 약 500억달러에 달한다”라며 “가능하다면 그 중 상당 부분을 다시 확보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엔비디아와 백악관의 협상은 두가지가 쟁점으로 분석된다. 우선 H20 칩처럼 중국 판매액의 15%를 정부에 주는 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블랙웰은 20%를 받아야 한다는 입장도 비친 바 있다.
두번째는 칩의 성능 제한 폭이다. 알려진 대로 중국은 자국산 칩을 장려하기 위해 엔비디아 칩 수입을 금지한 상태다. 이는 화웨이의 칩이 엔비디아 H20을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다는 자신에 따라, 기업 불만을 강제로 잠재운 것이다.
따라서 엔비디아가 새로 내놓을 블랙웰 칩은 중국 시장에 파고들기 위해서는 화웨이가 따라올 수 없을 만큼 성능이 월등하게 뛰어나야 한다.
앞서 해외 매체들은 엔비디아가 블랙웰의 저가형 버전 ‘B30A’를 중국 시장에 맞춰 준비 중이라고 보도했다. 성능은 현재 주력인 'B300'의 절반 정도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도 "블랙웰보다 30~50% 정도 성능이 떨어지는 칩을 판매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 엔비디아, 중국용 'H20' 생산 중단...미·중 갈등에 ‘샌드위치’ 신세
- "중국, 미국 상무부 장관의 모욕적 발언으로 H20 차단"
- 엔비디아, 'B300' 절반 성능 갖춘 중국용 AI 칩 개발..."정부 허가 불투명"
- 정부 압력에도 엔디비아 칩 중국 수요 확대..."신형 칩 가격은 2배"
- 젠슨 황, 영국 국빈 방문에 트럼프와 합류...알트먼·쿡도 포함
- "엔비디아의 'RTX6000D' 칩, 중국 기업 수요 전혀 없어"
- 트럼프 “시진핑과 엔비디아 블랙웰 칩 논의 안 해”
- 트럼프 "최첨단 칩은 미국 외 누구에게도 주지 않을 것"
- 중국 기업, 금지된 GPU '합법적'으로 2300개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