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이 최대주주로 참여하는 전북 서남권 400MW 해상풍력 시범사업이 정부가 올해 처음 도입한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고정가격 경쟁입찰에서 최종 선정됐다.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북서쪽 공유수면 해상에 위치한 전남해상풍력 1단지에 10MW급 풍력발전기가 설치돼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사진=SK이노베이션 E&S)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북서쪽 공유수면 해상에 위치한 전남해상풍력 1단지에 10MW급 풍력발전기가 설치돼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사진=SK이노베이션 E&S)

이번에 선정된 전북 서남권 시범사업은 한전과 발전공기업이 100% 지분을 보유한 한국해상풍력㈜이 추진 중인 사업으로, 총 4개 낙찰 프로젝트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공공주도형 입찰 물량은 약 500MW 내외로 공고되었으며, 총 689MW(4개소)가 참여해 모두 선정됐다. 반면, 일반형 입찰(750MW 내외)에는 844MW(2개소)가 응찰했으나 단 한 건도 선정되지 못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은 올해부터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해상풍력 보급을 위해 새로운 입찰 방식을 도입했다.

이는 석탄발전 감축과 정의로운 전환을 지원하고, 국내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다. 

낙찰된 발전사업자는 생산 전력을 20년간 고정가격에 판매할 수 있어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14.3GW 규모의 해상풍력을 보급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번에 공공지분 100%로 추진되는 400MW 대형 프로젝트가 포함됨에 따라 초기 해상풍력 보급 과정에서 공공부문의 역할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산 터빈이 적용될 경우 약 6조 원 규모의 수입 대체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상반기 미선정 물량은 수요와 업계 의견을 종합해 하반기 및 이후 연도에도 지속적으로 입찰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특히 하반기 공고에서는 업계 간담회와 설명회를 통해 제도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전 관계자는 "터빈 선정, EPC 계약, 재원 조달 등 전 과정을 차질 없이 추진해 본 사업이 공공주도 해상풍력의 대표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며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전환 목표 달성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