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인공지능(AI) 챗봇이 대체로 진보적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소수자 입장을 대변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한 예로 폴리티컬 콤파스라는 사이트는 주요 챗봇에 문제를 풀게 해 정치 성향을 추적합니다. 8월6일 현재 테스트한 주요 모델 18종은 모두 경제적으로 좌파(economic left)이며, 사회적으로 자유주의(Social Libertarianism)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와 반대되는 성향은 우파(right)에 권위주의(Authoritarianism)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중국 정부의 사상 검열을 받은 '딥시크-R1'과 '딥시크-V3'뿐만 아니라, 극우로 알려진 일론 머스크 CEO의 '그록-4'도 같은 부류에 포함됐다는 것입니다. 

그록이 좌파 성향이라는 것은 주목할 만합니다. 머스크 CEO가 xAI를 설립하고 그록을 만든 이유는 '챗GPT'를 대체할 챗봇을 만들겠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는 챗GPT가 진보 편향적이라고 비난해 왔습니다.

챗GPT가 화제를 일으킨 지난 2023년 2월 구글 딥마인드 출신인 이고르 바부쉬킨을 만나 xAI 설립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며칠 뒤 X(트위터)를 통해 '깨어있는 AI(Woked AI)’와 ‘폐쇄적인 AI(Closed AI)’를 괴수로 묘사하고, 근본적인 AI(Based AI)'가 이들을 물리치는 이미지도 올렸습니다. '깨어있다'는 말은 진보 진영을, '근본적’이라는 용어는 보수 진영에서 의미하는 말입니다.  

그리고 그는 X를 통해 "스스로 깨어난 사람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의견의 다양성과 언론 자유에 대한 생각 없이 인종적 다양성, 성평등, ESG 정책과 같은 원칙을 강요하려 한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사진=X, Elon Musk)
(사진=X, Elon Musk)

하지만 그해 12월 출시된 그록은 정치적 성향보다, 농담하는 챗봇으로 유명했습니다. 예를 들어, 다른 챗봇은 마약 제조법을 물어보면 정색하고 답변을 거부하지만, 그록은 비아냥거리는 투의 농담으로 답하는 것이 주목받았습니다. 머스크 CEO도 "꽤 웃기는 챗봇"이라고 평했을 정도입니다. 

그록이 정치적 성향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사실 이미지 생성 기능 때문이었습니다. 2024년 8월 출시한 '그록-2'에는 독일 스타트업 블랙포레스트 랩스의 '플럭스.1'이라는 이미지 모델이 탑재됐는데, xAI는 선정적인 이미지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가드레일을 없앤 것으로 유명했습니다.

이 때문에 당시 대선 레이스를 펼치던 도널드 트럼프 후보와 카멀라 해리스 후보는 물론, 머스크 CEO의 패러디 이미지까지 쏟아졌습니다.

이 무렵부터 머스크 CEO가 트럼프 대선 캠프에 합류했던 것도 주목할 만합니다. 트럼프 후보는 보수를 대표하는 인물로, 소셜 미디어의 검열을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머스크 CEO도 같은 입장입니다. 

이 시기를 전후로 그록의 정치 성향도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전후로, xAI는 물론 구글과 메타, 오픈AI 등은 모두 챗봇의 정치적 검열 방침을 철회하게 됩니다. 

그가 정부 효율성 부서(DOGE) 수장에 앉은 올해 초부터 그록의 정치적 성향은 본격적으로 도마 위에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그록이 머스크 CEO나 트럼프 대통령을 허위 정보자로 지목했다는 것이 지적받았습니다. 이때부터 xAI는 그록의 정치 성향을 수정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일어난 상황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머스크 CEO의 성향을 그대로 드러낸 것입니다. '백인 학살' 언급이나 홀로코스트에 대한 왜곡에 이어, '메카히틀러' 발언까지 나왔습니다. 챗봇의 답이 선을 넘어 버리자, 결국 xAI는 공식 사과에 나섰습니다.

그리고 이 시기에 xAI는 거의 매일 그록의 정치 성향을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뉴욕 타임스는 2일(현지시간) 시카고대학교 연구실이 작성한 41개의 정치적 질문에 대한 그록의 응답을 비교해 정치적 편향을 측정한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7월6일부터 11일까지 그록은 무려 5번이나 수정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진보와 보수를 오고 간 결과, 그록은 수정 이전의 상태로 복귀했습니다. 진보 성향이 약간 더 강한 쪽으로 돌아온 것입니다. 이는 폴리티컬 콤파스의 측정 결과와 같습니다.  

그록은 이 문제로 적잖은 피해를 봤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xAI 설립 2년 만에 그록이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으로 올라선 것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GPT-5'보다도 일부 분야에서는 그록-4의 성능이 더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성능보다 성향'이 더 주목받는 문제의 챗봇으로 낙인이 찍힌 것입니다. 머스크 CEO와 xAI를 창립했던 바부쉬킨은 지난 달 xAI를 떠났습니다. X를 이끌었던 린다 야카리노 CEO도 사임했습니다.

그록이 결국 이렇게 된 것은 알고리즘이나 가드레일만으로는 어쩔 수 없는 LLM의 한계를 보여준다는 지적입니다. 즉, 그록도 다른 모델과 같은 인터넷의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했습니다. 아무리 시스템 프롬프트를 조정해도, 결국은 배운 대로 답하기 마련입니다. 모든 챗봇이 비슷한 성향이라는 것이 이를 입증합니다.

이 때문에 머스크 CEO는 수정된 데이터로 '그록-4'를 학습, 인류 지식 전체를 다시 작성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그록-4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학습 데이터 곳곳에 숨어있는 '문제의 콘텐츠'를 필터링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AI 챗봇의 정치적 성향을 바꿀 방법은 간단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 작성한 콘텐츠를 학습하지 않는 것입니다. 만약 그런 모델이 나올 수 있다면 말입니다.

이어 2일 주요 뉴스입니다.

'챗GPT' 국내 사용자 2000만 돌파...1000만 돌파 후 5개월 만

챗GPT가 국내에서도 무서운 속도로 사용자를 늘려가고 있습니다. 1000만을 돌파한 게 지난 3월인데, 5개월 만에 2000만으로 늘어난 것입니다. 이제 휴대폰 사용자의 40%가 사용하는 챗봇이 됐습니다.

(사진=뤼튼)
(사진=뤼튼)

뤼튼, 캐릭터챗 '크랙' 국내 인기 업고 일본·글로벌 확장

뤼튼의 캐릭터 챗 서비스가 국내와 일본에 이어 글로벌 진출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입니다. 캐릭터챗은 글로벌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에서는 성인용 챗이 그렇습니다. 

사카나 AI, 기존 '병합' 한계 넘는 기술 공개..."이미지 모델도 병합 가능"

모델 병합으로 유명한 사카나 AI가 기존 한계를 넘는 기술을 공개했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비슷한 모델이 아닌 이종의 모델을, 그것도 언어모델을 넘어 이미지 생성 모델까지 병합하는 기술입니다.

AI타임스 news@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