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시의회는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이유는 분명하다. 첫째, 전력 수요 급증이다. 전기차, 데이터센터, 인공지능 산업이 커지면서 전기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둘째, 외부 의존도 문제다. 서울은 에너지의 90% 이상을 다른 지역에서 가져오고 있다. 셋째, 노후화된 시설이다. 오래된 변전소와 배전망은 안전성 문제를 안고 있다.
이처럼 에너지는 단순히 전기 문제가 아니라 산업·환경·도시·복지까지 걸쳐 있는 종합 현안입니다. 각 상임위원회에서 흩어져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에너지 문제 관련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에너지에 대한 모든 관련 이슈를 모아 통합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특별위원회(특위) 설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전남도의회는 2024년 말에 이미 '신재생에너지 지원 특별위원회'를 꾸렸다. 활동 기간은 2026년 3월까지이며, 현장 점검과 정책 제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단순히 '신재생에너지 지원'을 넘어서, 분산에너지 특구, 전력 직거래, 데이터센터 전력 관리 같은 새로운 과제도 다뤄야 한다"는 지적이다.
즉, "전남도의회 특위는 기존 틀을 보완해 더 넓은 전략적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특위를 통해 "전력 자립률을 높이고, 산업단지를 친환경적으로 전환하며, 취약계층의 에너지 부담을 줄이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꼬집는다.
전남 주요 기초의회, 맞춤형 특위 필요
광역 차원에서 큰 전략을 세우더라도, 실제 실행은 기초 지자체에서 이루어진다.
때문에 "전남도의회에서 더 나아가 전남의 주요 도시들은 각자 에너지 현안을 안고 있어 맞춤형 특위 설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여수시는 대규모 석유·화학 국가산단이 있는 곳이다. 따라서 여수시의회는 산단의 전기 사용량을 줄이고, 열을 재활용하는 등 '산단 전환 특위'가 필요하다.
광양도 제철소와 2차전지 산업이 몰려 있다. 때문에 광양시의회는 대규모 전력 수요와 계통 문제 해결을 위한 '산단 에너지 효율·배터리 순환 특위'가 적합하다.
순천은 생태도시로 유명한 만큼, 시의회 차원에서 건물 에너지 효율화와 분산형 전력 시스템을 다루는 '그린도시·분산에너지 특위'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한전 본사와 에너지밸리가 있는 나주시도 의회 차원에서 데이터센터와 신산업 전력을 관리하는 '데이터센터·에너지 신산업 특위'를 두면 효과적이다.
서울시의회가 보여준 사례는 단순히 한 도시만의 문제가 아니다. 에너지 문제는 모든 지방정부가 함께 풀어야 할 시대적 과제다.
전남도의회는 이미 첫걸음을 내디뎠고, 이제는 에너지의 보고인 전남의 주요 기초의회들이 특위를 통해 구체적인 현안을 해결해야 할 때다.
에너지 특위는 단순한 회의체가 아니라, 지역의 안전·경제·환경·복지를 동시에 지키는 전략적 플랫폼이다.
앞으로 전남도의회와 시·군 의회가 힘을 모아 '지방형 에너지 전략'을 만들어 간다면, 전남은 대한민국의 에너지 전환 선도 지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