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에너지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정부가 2030년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상향하면서, 전국 곳곳에서 풍력·태양광 사업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높은 목표만큼이나 인허가 절차, 계통 한계, 주민 갈등이라는 난관도 만만치 않다. 특히 전남은 국내 최대 해상풍력 단지와 계통 보강 계획이 동시에 추진되면서, 성공과 실패가 뒤섞인 실험무대로 주목받고 있다.
본지는 기획 시리즈를 통해 ▲전남이 왜 에너지 전환의 최전선이 되었는지, ▲사업자가 반드시 거쳐야 할 인허가의 현실은 무엇인지, ▲타 지자체와 비교했을 때 전남의 기회와 리스크는 무엇인지 차례로 짚어본다.
글 싣는 순서
①풍력·태양광에 올인…국가 에너지 대전환, 전남이 시험대
②환경평가만 2년…절차와의 싸움이 곧 사업 성패
③전남 vs 타 지자체, 어디가 더 유리한가
정부가 2030년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기존 78GW에서 상향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전남이 가장 먼저 주목받는 이유는 자원 잠재력과 국가 인프라 투자계획이 동시에 몰려 있기 때문이다.
신안 앞바다에 계획된 8.2GW 규모 해상풍력 클러스터는 총 48조 원의 투자가 걸린 국내 최대 프로젝트다.
목포신항에 전용부두·배후단지, 설치선 조선 인프라가 들어서며, 항만·조선·운송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생태계 구축이 진행 중이다.
또한 정부가 이번 국정과제에서 강조한 서해안 HVDC 조기 구축과 U자형 전력망은 전남을 관통한다. 전남이 겪어온 '계통 병목'을 해소해 전국 전력망과 직결하겠다는 것이다.
전남이 주목받는 3대 이유는 첫째, 자원이다. 서남해 풍황, 광활한 해상 입지가 탁월하다. 둘째, 계통이다. HVDC·U자형 전력망, 호남 접속제한 철회 계획이다. 셋째, 산업이다. 목포항 전용부두, 기자재·조선·설치선 인프라가 좋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