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서남권에 '에너지 미래도시' 조성을 위한 100일 플랜에 착수했다. 이는 새 정부가 수도권 집중 완화와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지방에 대규모 신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밝힌 정책 기조에 발맞춘 대응이다.

솔라시도
솔라시도

김영록 전남지사는 24일 도청에서 열린 '전남 에너지 미래도시 구축 킥오프 회의'에서 "풍부한 재생에너지와 광활한 부지를 갖춘 전남은 대규모 신도시 유치에 최적지"라며,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선제적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남도가 구상하는 '에너지 미래도시'는 솔라시도를 중심으로 인구 10만 명 규모의 자립형 신도시다. 단순한 주거단지를 넘어, 산업시설과 재생에너지 집적지, 그리고 정주 인프라를 한데 모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에너지 특화도시로 키우는 것이 목표다.

산업시설 지구는 RE100을 실천해야 하는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입주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기반을 마련해 대기업과 첨단산업 유치에 나선다. 

특히 최근 블랙록과 과기정통부가 국내에 재생에너지 기반 초대형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논의한 만큼, 전남도는 대규모 투자를 끌어오기 위해 적극적으로 경쟁에 뛰어든다는 구상이다. 

여기에 한국에너지공대, 목포대, 순천대와 연계해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도 마련할 예정이다.

재생에너지 표본 '영농형 태양광발전단지' (사진=파루솔라)
재생에너지 표본 '영농형 태양광발전단지' (사진=파루솔라)

재생에너지 집적화 지구는 서남해안에 풍부한 태양광과 풍력 자원을 바탕으로 조성된다. 분산된 발전설비를 집적화하고, 송전망과 변전소 등 계통 인프라를 확충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뒷받침한다. 

추진이 가능한 태양광 단지부터 단계적으로 개발을 시작하고, 정부에 공공개발 사업에 대한 전력계통 우선 배정을 건의해 에너지 자립마을 건설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또한 배후 정주 지구에는 근로자와 가족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주택, 국제학교, 병원, 문화·체육시설 등 생활 인프라가 갖춰진다. 인구 10만 명 규모에 걸맞은 교통·용수·전력망 확충도 병행한다.

전남도는 실국별로 역할을 나누고 연구원과 공공기관, 전문가 그룹이 참여하는 전략회의를 매주 운영한다.

올 하반기 제정이 예상되는 「RE100 특별법」에 맞춰 관련 산업단지 지정을 추진하고, 2026년 초 지방 신도시 지정 전에 도시 조성 기본계획을 확정한다는 목표다.

궁극적으로 전남도는 '에너지 미래도시'를 통해 글로벌 기업 유치와 첨단산업 인재 양성, 에너지 자립형 신도시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실제 투자를 확보하고, 전력 계통 안정화와 기반 인프라 확충 속도를 얼마나 현실적으로 달성할 수 있느냐가 향후 성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