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해외 공장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들여오는 반도체의 양만큼 미국에서 칩을 생산하지 않으면 관세를 추가 부과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미국 내 반도체 생산 시설을 확대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의도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기업에 수입하는 반도체와 같은 물량을 국내에서 생산하도록 압박하고, 이를 지키지 못할 경우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제조의 자국 복귀(reshoring)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칩을 생산하면 관세 면제 혜택을 제공했다. 이번 계획은 이를 넘어, 일정 기간 국내 생산과 수입 비율을 1대 1로 유지하지 못하면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이미 반도체 업계 임원들에게 이번 제안이 경제 안보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대변인은 이에 대해 “미국은 국가와 경제 안보에 필수적인 반도체 제품을 외국에 의존할 수 없다”라고 말했으나, 공식 발표 전까지는 추측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는 상당수 반도체 기업들이 칩 설계만 전문적으로 하고, 생산은 외국의 파운드리에 위탁하는 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미국에 공장을 만들어 직접 생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미 국내외 주요 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 시설 확대에 수천억달러를 투자하도록 유도했다.
또 이번 방안에 따라 기업이 미국 내 반도체 생산을 약속하면, 해당 물량만큼 수입분에 대해 관세를 면제받을 수 있다. 이는 초기 생산 능력 확대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1대 1 규칙이 시행되기까지는 수년이 걸릴 수 있으며, 이미 미국 내 생산 시설을 갖춘 기업에 유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존 벨튼 가벨리 펀드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이 규칙은 실행하기 매우 어렵고 장기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에 따라 글로벌파운드리와 인텔 주가는 각각 5% 상승했다. 두 회사는 미국 생산 역량을 갖춘 몇 안 되는 반도체 기업으로 구분된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