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대표 구현모)가 GS리테일(대표 허연수)과 인공지능(AI)ㆍ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로 국내 물류 산업 혁신을 주도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KT는 GS리테일과 ‘디지털물류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17일 발표했다.

디지털물류는 AI, 빅데이터, IT 플랫폼으로 물류 데이터를 융합ㆍ분석하고 각 기업에 최적화된 물류ㆍ운송 환경을 구현하는 것으로 산업간 시너지를 강조한 4차산업혁명의 대표적인 융ㆍ복합 사례다.

KT와 GS리테일은 이번 협력으로 AI 물류 최적화 플랫폼을 활용해 물류 운송 혁신을 진행한다. KT는 AI 기술을 활용해 최적의 운송 경로를 자동으로 수립하는 ‘물류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본 서비스는 KT 물류 최적화 플랫폼과 연동된 상용차 전용 내비게이션과 GS리테일의 배송매니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계획이다.

KT는 지난 십 수 년간 축적한 모빌리티 기술과 운송 데이터 융합ㆍ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AI 물류 최적화 플랫폼’을 개발했다. ‘AI 물류 최적화 플랫폼’은 화물차 높이, 길이, 무게 등 세부적인 내용까지 반영해 최적의 경로를 제시한다.

서영진 KT 과장은 “고양ㆍ제주 물류센터 시범 사업 기간은  두 달 정도로 예상하고 있으며 운영 기간 동안 KT의 AI 물류 최적화 플랫폼을 GS리테일 화물차 몇 대에 적용하고 편의점 몇 군데를 도착 차고지로 설정할 지는 GS리테일 영업 비밀이어서 공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양사는 물류 계획 수립 단계부터 GS물류센터를 비롯해 GS 편의점 1만 5000여개 위치, 화물차의 출ㆍ도착 차고지 등을 기준으로 최적의 이동 경로와 하차 장소 등 정보를 공유한다. 이 정보는 KT가 개발한 AI 예측모델로 도출하며 기존 운송 데이터, 실시간 교통 상황, 화물량, 영업점 별 인수 가능 시간 등 복합적 변수까지 포함해 시범 사업에 적용한다.

KT는 물류 운송 경로 최적화 서비스를 다른 유통 기업과 타 산업에 확대 적용하고 운송업 특성을 반영한 상용차 전용 길 찾기 서비스도 확대할 계획이다.

구현모 KT 대표는 “코로나19 시대 사회적 이슈가 되는 물류분야 디지털 혁신 모델을 창출할 것이며 이것이 KT가 추구하는 디지털플랫폼 기업(Digico) 사례이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KT, ‘통신 빅데이터 오픈 랩’ 개소...민·관 데이터 가공ㆍ분석 적극 나서

[관련기사] KT, 도심 하늘 나는 드론택시 첫 비행… 상용화 경쟁 치열해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