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GIST)이 전남·광주·충북·빛가람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전주대학교, 광주테크노파크, 광주지방국세청과 손잡고 인공지능(AI) 분야 예비창업자를 위한 길잡이 역할에 나섰다. (사진=셔터스톡).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GIST)이 전남·광주·충북·빛가람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전주대학교, 광주테크노파크, 광주지방국세청과 손잡고 인공지능(AI) 분야 예비창업자를 위한 길잡이 역할에 나섰다. 지스트는 AI를 활용한 기술 사업 아이템을 평가해 창업을 위한 물적·인적 자원을 지원함으로써 지역 AI 창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예비창업자들이 시행착오를 줄여 빠르게 창업에 성공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수행할 것

지스트는 최근 호남권·협업기관들과 공동 주최한 '2022년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 교육 및 세미나'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전했다. 올해 예비창업패키지에 선정된 총 19명의 예비창업자와 지스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창업스타트교육'은 지난달 13일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됐다. 이어 7월 19일과 20일에는 창업 사업화에 필요한 '금융·신용 교육'도 비대면으로 이뤄졌다.

2022년 예비창업패키지 특화분야 창업스타트 교육 현장 사진.
2022년 예비창업패키지 특화분야 창업스타트교육 현장 모습. (사진=지스트 제공).

특히 이번 교육은 '강의형'과 '네트워킹형'으로 세분화해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금융교육 및 신용관리를 비롯해 ▲보증서를 활용한 자금 조달 ▲부가가치세·종합소득세 ▲세미나를 통한 스타트업 자금조달 방법 구체화 등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창업기업 네트워킹도 마련됐다.

또 오는 9월 중순에는 2022년 예비창업패키지 IR(특화) 교육이 진행된다. 해당 프로그램에서 참가자들은 스타트업 투자 유치 전략과 투자 사례 분석을 통한 전략 수립, 투자 예약서 작성법 등에 관한 교육을 받게 될 예정이다. 조병관 창업진흥센터장은 "코로나19 여파로 창업이 힘든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예비창업자들이 시행착오를 줄여 빠르게 창업에 성공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전했다.

2022년 예비창업패키지 금융·신용 교육 및 세미나 현장 모습. (사진=지스트 제공).

지스트는 예비창업패키지 특화 분야인 디지털·네트워크·인공지능(D.N.A) 분야의 AI를 활용한 기술을 중심으로 사업 아이템의 우수성과 사업화 가능성 등을 평가해 창업 사업화를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해오고 있다. 지스트가 보유한 창업 인프라를 활용해 혁신적인 기술 창업 소재가 있는 D.N.A. 분야 예비창업자들을 육성하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겠다는 포부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은 예비창업자의 원활한 창업 사업화를 위해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고 창업교육·멘토링과 판로 연계, 글로벌 진출 등 실질적인 창업 지원을 제공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사업화 자금 평가를 거쳐 선정된 예비창업자는 평균 5,000만 원을 지원받는다. 더불어 온·오프라인 교육과 창업·경영 전문가 전담 멘토 지정을 통해 예비창업자 창업활동 전반에 대한 밀착지원 서비스도 제공된다.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GIST) 전경. (사진=지스트 제공).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GIST) 전경. (사진=지스트 제공).

지스트는 '2022년 중소벤처기업부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지난 2019년을 시작으로 4년 연속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특히 지스트가 주관하는 예비창업패키지 특화분야는 인공지능 분야다. 지스트는 2019년 예비창업패키지 4차 산업분야(AI)를 시작으로 2020년과 2021년 AI 분야 예비창업자를 육성하기 위한 예비창업패키지를 4년째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에는 37개사를 지원해 매출액 5.9억 원과 고용인원 60명의 사업 성과를 냈다. 3년 동안 총 111개사 지원을 통해 매출액 12.6억 원과 고용인원 229명, 투자유치 약 7억 원의 성과를 창출했다는 게 지스트 측의 설명이다. 'AI 중심도시'를 표방한 광주에서 지스트는 AI 분야 창업 거점으로서 AI 창업문화 확산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AI타임스 윤영주 기자 yyj0511@aitimes.com

[관련기사] AI 알고리즘으로 영상 속 '깊이 정보' 정확히 밝혀낸다

[관련기사] "초소형 카메라 하나로 물 속과 밖에서 360도 전방위 촬영 가능"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