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미국 상무부가 빠르면 이번 주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 등 30여개 중국 기업을 무역 블랙리스트인 '수출 통제 명단'에 추가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13일(현지시간)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수출 통제 명단에 들어간 중국 업체들은 상무부에서 별도의 라이선스를 받지 않는 한 미국 공급업체로부터 관련 부품이나 장비를 구매할 수 없게 된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10월초 첨단 반도체와 슈퍼컴퓨터용 반도체 등의 중국 수출 통제 방침을 발표하고, 중국 기업 31곳을 '미검증 명단'에 올려 잠정적인 수출 통제 대상으로 지정했었다.

여기에는 중국 최대 3D 낸드 플래시 반도체 제조기업으로 스마트폰 등에 쓰이는 메모리 칩을 만드는 YMTC를 포함해 중국 최고 반도체 장비업체 베이팡화창(나우라 테크놀로지)의 자회사 '베이징 나우라 자전기 테크놀로지' 등이 포함됐다.

미검증 명단은 미 당국이 통상적인 검사를 할 수 없어 최종 소비자가 어디인지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이유로 더 엄격한 수출 통제를 하는 대상을 말한다. 여기에 포함된 기업은 60일 이내에 제품이 수출 규제 규칙을 위반하지 않았음을 입증해야 한다.

YMTC는 상무부 요청을 따르기 위해 몇 가지 조치를 취했다. 또 10월 중 모든 미국인 직원에게 회사를 떠날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도 YMTC가 기업 목록에 추가되는 것을 막기 위해 협력했지만, 이러한 노력은 분명히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이처럼 미검증 명단에 올랐다가 결국 수출 통제 명단에 추가된 대표적인 기업은 화웨이다. 화웨이는 2019년 같은 수순을 거쳐 미 공급업체와 접촉할 방법을 모두 잃었고, 생산 능력에 커다란 타격을 입었다.

블룸버그는 이번 조치로 미·중 간 긴장의 골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4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에 대해 "노골적인 경제 협박이자 과학기술 분야의 괴롭힘 행위"라며 "중국은 중국 기업과 기관의 합법적 권익을 결연히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