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원장 황종성)은 정부의 '통합 데이터지도'에 민간 4개 플랫폼의 데이터 상품 및 서비스를 추가하는 등 연계를 확대한다고 21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민간과의 협업으로 분야별 데이터 생산·수집·가공·유통 등 전 주기를 지원하는 16개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각 플랫폼에 축적된 데이터를 한 곳에서 찾을 수 있도록 통합 데이터지도를 운영하고 잇다.
지속적으로 민관 연계를 확대해 2022년 11월 기준 26개 데이터 플랫폼·포털에 개방된 10만건 이상의 데이터를 지원하고 현재까지 약 29만명이 통합 데이터지도를 활용했다고 과기정통부는 밝혔다.
이번에 추가되는 4개 플랫폼은 ▲SK텔레콤, 신한카드, 코리아크레딧뷰로 등이 운영하는 '그랜데이터' ▲KB국민카드가 운영하는 '데이터루트' ▲롯데카드의 '데이터스' ▲피타그래프의 '피타그래프' 등으로, 각 기업이 확보·가공한 총 143건의 데이터와 분석보고서가 통합 데이터지도에서도 검색된다.
그랜데이터는 가명정보 기반 안전한 통계 데이터 등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KB국민카드는 분석솔루션과 데이터 상품 등을 판매한다.
데이터스는 데이터 상품 및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유통하는 플랫폼이며, 데이터시각화 솔루션 기업인 ʻ피타그래프ʼ는 제휴사 데이터를 중개하고 데이터 시각화 서비스, 가공데이터 등을 제공한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최근 데이터 유통‧거래 시장에 대한 민간기업의 활발한 참여는 향후 데이터 산업의 유망한 성장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민간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통합 데이터지도가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데이터의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이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