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유럽연합(EU)이 '인공지능(AI) 법' 제정 전에 AI가 생성한 콘텐츠에 사용한 AI가 무엇인지를 표시하도록 강제하기로 했다. AI법 시행 전에 발생할 수 있는 AI 부작용을 방지하겠다는 취지다.

가디언을 비롯한 다수 외신이 5일(현지시간) EU가 구글이나 MS 등 빅테크 기업들이 생성 AI 콘텐츠에 사용자들이 알 수 있도록 표시를 하지 않을 경우 오는 8월 25일 발효되는 '디지털 서비스법(DSA)'으로 제재하겠다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베라 주로바 유럽위원회(EC) 부위원장은 "MS의 ‘빙챗’이나 구글의 ‘바드’ 같은 생성 AI 서비스를 하는 기술 대기업을 대상으로 가짜 뉴스 방지를 위해 AI 생성 콘텐츠에 라벨을 붙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해당 기업들이 악의적인 행위자가 허위 정보를 만들어내는데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안전장치를 해야 한다"면서 "AI가 생성한 콘텐츠에 사용자들이 알 수 있게 즉시 표시하라"고 촉구했다.

베라 주로바 유럽위원회 부위원장(사진=유럽위원회)
베라 주로바 유럽위원회 부위원장(사진=유럽위원회)

DSA는 페이스북이나 틱톡 등 소셜미디어들이 유해 콘텐츠를 걸러내지 못할 경우 최대 전 세계 수익의 6%나 1억4500만파운드(약 2346억원)의 벌금을 물릴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주로바 부위원장의 발언은 이 규정을 생성AI 서비스에도 적용하겠다는 의미다.

그는 또 DSA법이 발효되기전까지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지키기로 한 실천 강령을 거부한 트위터에 대해 “실수한 것”이라며 앞으로 법 준수 여부에 대한 강력한 조사를 받게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구글과 MS, 메타, 틱톡 등 44개 기술기업들은 앞서 허위 정보를 다루기 위한 EU의 실천 강령에 동의하고 서명했으나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는 서명을 했다가 철회했다. 이 강령은 다음달에 각 기업이 안전장치를 EU 당국에 보고하도록 했다.

EU는 최근 러시아의 허위 정보 공세에 맞서기 위해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이  동유럽 지역에서 생산되는 콘텐츠들의 사실 확인 작업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해 달라고 요청했다. 주로바 부위원장은 "러시아가 원하는 것은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여론을 약화시키는 것"이라며 "우리의 이익과 민주주의를 수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병일 기자 jbi@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