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봇(대표 김창구)은 디지털 트윈 기반 산업용 자율주행로봇(AMR) 최적화 운영 서비스 기술 개발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클로봇은 산업통상자원부와 '2023 지식서비스산업기술개발 협약'을 맺은 바 있다. 2025년까지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도이치텔레콤, 티시스템즈와 공동으로 글로벌 산업현장에 적용 가능한 로봇 운영서비스 개발을 추진 중이다.
특히 현장설비 이동이나 적재물 등 수시로 환경이 변화하는 산업현장에 자율주행로봇을 도입하는 것이 주 목표다. 실제와 가상을 연계, 실시간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로봇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개발한다는 설명이다.
이번 기술 개발로 ▲AMR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산업환경 내 다수의 AMR 운영을 위한 최적화 기술 ▲실제 산업현장 내 실시간 적용이 가능한 가상 AMR 시뮬레이션 기술 고도화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에서는 ▲가상의 공장, 물류센터 등에서 AMR 운영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 ▲디지털 트윈 실감 가시화 기술 개발 등을 담당한다.
아울러 실제 환경 기반 로봇 운영모델과 디지털 트윈 가상 모델을 통합, 해당 결과를 독일 베를린의 베르너 폰 지멘스센터에 구성 및 검증할 계획이다. 현지 운영은 도이치텔레콤과 티시스템즈가 담당한다.
최적화운영기술 개발을 마친 뒤엔 독일, 유럽연합(EU), 동유럽 기업 등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다양한 로봇 설비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상균 클로봇 서비스로봇사업부장은 “실제와 가상환경을 통합해 자율주행로봇의 도입과 시뮬레이션을 가능케 하겠다"며 "최적화 로봇 기반 자동화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클로봇은 2017년 5월 국내 지능형로봇 전문가 그룹이 설립한 기업이다. KT, 현대자동차, 한국문화정보원 등에 실내 자율주행 로봇과 서비스를 공급한 바 있다. 2021년엔 범용 자율주행 솔루션 ‘카멜레온’을 공식 출시하고 다양한 물류 및 로봇기업과 협업 중이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