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실리콘밸리를 강타했던 대규모 기술 해고 사태와 달리, '기후 기술' 분야 특히 청정에너지 분야의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기존 기술 인원들의 유입까지 예측됐다.
테크크런치는 2일(현지시간) 산업 그룹 E2의 보고서를 인용, 미국 내 청정에너지 분야의 일자리가 지난 2년간 10%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분야의 일자리 성장률을 앞서는 수치라고 보도했다.
또 미국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인플레이션 감소법이 만료되는 2032년까지 풍력 발전 기술자(45% 성장) 일자리가 가장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태양광 분야도 22%로, 데이터 과학자나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과 흡사한 22%를 기록했다.
미국은 지난해 초부터 이어진 글로벌 빅테크의 대규모 해고가 아직 진행 중이다. 인공지능의 급격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전년도부터 이어진 불황 여파로 인해 마이크로소프트나 구글과 같은 대기업은 물론 스타트업까지 모두 24만여개의 일자리를 줄였다. 이런 추세는 연말까지 이어져, 11월에도 7000여개의 일자리가 감소했고 올해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 가운데 기후 산업 및 청정에너지 관련 일자리가 늘어나다는 것은 상징적인 면이 크다. 탈탄소화는 이미 세계적인 대세가 됐다.
특히 지난 몇년간 관련 일자리는 초기 기술 개발에 집중한 스타트업 수요에 크게 좌우됐지만, 기술 상용화가 점차 진행되며 범위와 고용폭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기존에는 과학자나 엔지니어에 치중했으나, 앞으로는 판매나 서비스, 지원 부서 직원도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또 풍력 터빈 기술자와 태양광 설치공뿐만 아니라 지열 보어홀 드릴러, 수소 공장 운영자, 전기차 충전기술자, 배터리 재활용업자, 열 펌프 설치공등 다양한 직종의 인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기존 해고됐던 기술 인원이 기후 기술 분야로 옮기는 것도 예측되고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최근 관련 전문 일자리 웹 사이트가 성행하는 등 노동 시장이 반응하고 있다.
E2 데이터처럼 청정에너지 분야는 수년에 걸쳐 성장해 왔다. 태양, 바람, 배터리 등 관련 기술 발전에 따른 비용 하락이 이를 가속했다.
특히 주요국은 관련 정책을 쏟아내고 있으며 대구모 투자도 실시 중이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소법과 양당 인프라 법, EU의 그린 딜 등 대표적이다. 이 세가지 정책을 통해 기후 및 환경 이니셔티브에 투입되는 자금만도 8000억달러(약 1050조원)에 이른다는 분석이다.
테크크런치는 "하지만 상기한 세가지 국책 사업의 완료 시점에는 그 이상의 자금이 투입, 8000억달러는 보수적인 수치가 될 가능성이 크다"라고 밝혔다.
김태용 기자 future@aitimes.com
- 14조 규모 미국 최대 청정에너지 프로젝트, 17년 만에 건설 시작
- 홋카이도서 일본 최대급 해상 풍력 발전소 가동
- [신년사] 파루 "영농형태양광으로 농촌 발전...글로벌 진출 확대할 것"
- 독일, 재생가능 에너지로 지난해 전력 수요 60% 충당
- 필리핀, 세계 최대급 태양광 착공
- "태양광, 지난해 미국 에너지 분야 중 가장 빨리 성장"
- 일본 NEDO, 우물 하나로 수만kW 발전하는 지열발전 착수
- 리모컨·키보드 배터리 대신 사용 가능한 '저조도 태양광 패널' 등장
- 펜타곤 지붕에 23MW급 루프탑 태양광 패널 설치
- 구글, 대만에서 1GW 태양광 프로젝트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