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삼성전자와 구글의 인공지능(AI) 제휴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 '갤럭시 S24'에 구글의 온디바이스 AI 모델 '제미나이 나노'를 설치하기로 합의한 것이 독점에 해당하는지 따지겠다는 것이다.
로이터는 29일 EU가 삼성과 구글의 계약을 검토하기 위해 제 3자 등 시장 의견을 구하겠다고 발표한 사실을 보도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의 파트너십 조사에 따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 EU 규제책임자는 이날 간담회를 통해 "삼성의 특정 기기에 구글의 소형모델인 제미나이 나노를 사전 설치하기로 한 계약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정보 요청을 보내고 있다"라고 말했다.
구글은 지난 1월 삼성의 스마트폰에 생성 AI 기술을 내장하기 위해 다년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발언은 빅테크가 AI 기술을 영향력을 앞세워 소규모 AI 개발자가 사용자나 기업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나온 것이다. AI 문제가 반독점 조사 대상으로 떠오른 것은 MS-오픈AI 계약이 시발점이다.
EU는 지난 3월 MS와 구글, 메타, 바이트댄스 등 시장을 지배하는 '게이트 키퍼' 기업에 반독점에 대한 질의서를 보냈고, 답을 받았다.
베스타게르 책임자는 "우리는 답변을 검토했고, 특정 독점 조항이 경쟁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MS와 오픈AI 계약에 대한 후속 정보 요청을 보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EU집행위원회는 MS의 오픈AI 지분 투자는 인수에 해당하지 않고 경영 통제도 없다고 판단, '합병 규정'에 의한 조사는 배제하고 독점에만 초점을 맞추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MS 대변인도 “우리는 EU 집행위원회의 추가 질문에 답변할 준비가 돼 있다”라고 말했다.
EU는 또 알려진 대로 MS의 인플렉션 대규모 고용에 대해서도 조사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베스타게르 책임자는 "이런 관행이 반복으로 이어질 경우 합병 통제 규칙을 위반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합병에 가까운 행태가 또 벌어지는 것에 대해 경고한 셈이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클릭AI] EU, 애플 이어 MS도 독점금지 위반으로 기소
- 영국, MS-미스트랄 AI 제휴 승인..."영향력 확보한 것 아니야"
- EU "MS의 인플렉션 인원 영입은 규제 회피 의도...예의주시할 것"
- MS-오픈AI, EU의 합병 조사 피할 듯..."단순 투자로 결론"
- 엔비디아, 프랑스서 반독점 혐의로 첫 기소 위기
- 삼성전자, 2분기 매출 74조...영업익 10.4조로 전년대비 1452% 상승
- 삼성전자, ‘파운드리 포럼 & 세이프 포럼’ 개최..."국내 생태계 확장할 것"
- 삼성, '언팩'서 다양한 AI 기능 추가...애플과 AI 격차 더 벌려
- [클릭AI] EU, 구글-삼성 AI 거래에 대한 반경쟁 여부 설문 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