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재 페르소나AI 대표가 18일 삼성동 사무실에서 AICC기술력을 소개했다. (사진=페르소나AI)
유승재 페르소나AI 대표가 18일 삼성동 사무실에서 AICC기술력을 소개했다. (사진=페르소나AI)

"현재 온톨로지(Ontology)는 검색증강생성(RAG)을 보완하는 개념이지만, 페르소나 AI의 목표는 RAG없이 자연어를 활용하는 텍스트 데이터베이스만으로 완전한 AI에이전트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유승재 페르소나AI 대표는 온톨로지가 현재 RAG의 한계점을 극복할 기술이 될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RAG는 벡터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사용자의 쿼리에 따라 가장 유사도가 높은 답변을 끌어오는 방식이다. 기업내부 자료나 외부 검색엔진을 활용해 출처를 밝히면서 대형언어모델(LLM)의 환각을 줄일 수 있는 기술로 채택됐다.

그러나 기업에서 지식관리시스템(KMS)을 도입할 때 LLM 학습용 데이터셋과 함께 벡터 DB를 별도로 구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럼에도 100%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없고, RAG를 위한 별도의 DB를 구축해야 한다는 부담이 컸다.  

유 대표는 "이제 의미파악까지 가능한 시맨틱 온톨로지 DB로 벡터 DB없이 지식관리가 가능하다"라며 "자체 개발한 생성AI '소나(SONA)' 온톨로지 자료 구조에 맞게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 생성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맨틱 온톨로지를 생성하고 출처가 되는 문서와 비교해 사실 기반의 답변을 줄 수 있다"라며 "벡터 DB에 비해 구축 비용도 절감된다"라고 강조했다. 

텍스트 형태의 온톨로지를 구축하면 자연어에 대한 활용도 개선된다. 유 대표는 "일반 사람들은 프롬프트를 쓰듯 명확하게 말하지 않기 때문에, LLM이 구어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자연어 처리(NLP) 뿐만 아니라 자연어 생성(NLG)으로 구어체 명령을 AI가 정확한 답을 찾을 수 있게 바꿔주면 답변의 정확도가 훨씬 개선된다는 뜻이다. 

더불어 페르소나AI는 경량화에 집중해 구축형, 온디바이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소형언어모델로 2B, 5B, 7B 모델을 제공한다. 특히 2B 모델은 CPU만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서버용 AI 엔진 '온 서버 AI(ON SERVER AI)'도 출시했다.

유 대표는 "기존 서버와 비슷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AI를 사용할 수 있고 보안 문제가 없다는 점에서 많은 글로벌 기업 사용자를 확보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또 여러 소형언어모델(sLM)을 조합, "모델의 크기는 70% 줄어들지만 성능은 20% 향상된 특화모델로 제공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페르소나AI는 2020년에 이미 DB손해보험 키오스크에 AI를 적용하는 등 일찌감치 임베딩 AI에 대한 연구를 이어왔다. 당시에는 NPU와 같은 AI 가속 칩이 없어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반도체(FPGA)로 기능을 구현한 것이다. 

실사용자의 어려움을 고려, 챗봇 뿐만 아니라 메타휴먼을 활용한 안내와 콜봇을 접목했다.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한 뒤 노령 사용자에게 맞춰 글자 크기를 키우거나, 챗봇 사용 중 어려움을 느끼면 콜봇으로 전환하는 등 상호작용적 기능을 구현했다. 그덕에 창구대기 시간을 31% 줄이고, 사용자 만족도도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이 때의 경험을 토대로 사용자의 필요를 해결해주는 다양한 시각자료를 제공하는 기술을 더했다. 

유승재 대표는 당시의 메타휴먼은 GPU 리소스를 지나치게 소비하는 문제가 있어, 최근 포르셰 파이낸셜과 다임러트럭에는 4K 3D시각 자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선회했다고 설명했다. 

차량에 문제가 생기면 웹상에서 3D로 구현된 차 이미지와 챗봇으로 필요한 상황에 적절한 매뉴얼을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포르셰 파이낸셜은 페르소나AI의 솔루션을 도입후 고객만족도 30%, 직원만족도는 40%라는 성과를 보였다고 전했다.

유 대표는 "4K 웹으로 제공해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고, 메타 휴먼을 구현하는 것보다 쉬운 대신 더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페르소나AI의 AI컨택센터(AICC)는 한국어·중국어·영어·일본어 등 4개국어 뿐만 아니라 음성에서 텍스트를 검출하고 이미지를 제공하는 등 멀티모달 기능도 탑재했다.

6월 열린 AI&빅데이터쇼에서 페르소나AI의 AICC를 체험하는 참관객 (사진=페르소나AI)
6월 열린 AI&빅데이터쇼에서 페르소나AI의 AICC를 체험하는 참관객 (사진=페르소나AI)

"페르소나AI의 AICC는 AI 에이전트로 발전하는 과정의 한 단계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동안의 연구·개발로 정확도 높은 AI 챗봇과 콜봇 뿐만 아니라 가장 인간친화적인 UI(사용자 인터페이스)라는 메타 휴먼 제작 기술도 확보했기 때문이다.

특히 디바이스의 발전에 따라 AI 에이전트의 일상화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AR 글스가 도입되면 원하는 사람의 메타휴먼으로 AI 에이전트를 사용할 수 있다"라고 예상했다. 

실제로 5월에 열린 전시회에서 AR 글라스를 활용한 AICC 콘텐츠를 선보이며 참관객의 호응을 끌어내기도 했다. 캐릭터와 실제 사람의 형태로 구현한 AI 에이전트를 사용, "AR 글라스로 시각과 청각적 자극을 동시에 경험하니 더욱 몰입도가 높다"는 반응이었다. 

유승재 대표는 이런 기술 개발이 사회적으로도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 줄 것으로 전망했다.

"AI가 일자리를 위협한다는 전망이 있지만 오히려 새로운 기회가 될 수도 있다"라며 "신체 장애가 있거나 고령으로 은퇴한 후에도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다고 본다"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