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 지자체들이 AI를 활용해 복지안전망을 강화하는 노력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들은 보건복지부의 'AI활용 복지사각지대 발굴 초기상담' 사업에 참여해, 복지위기 대상자를 더욱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한다. 이 사업은 지난해부터 시범 운영되고 있으며, 올해는 전국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전남에서는 목포, 순천, 곡성, 고흥, 보성, 장흥, 해남, 영광군이 참여하고 있으며, 광주에서는 서구, 남구, 광산구가 포함된다. 이들 지자체는 AI 시스템을 통해 정부가 통보한 복지위기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초기상담을 진행한다.
전남지역에서 정부가 통보한 후보자는 총 3079명으로, 이 외에도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대상자를 포함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AI와 초기상담을 받게 된다.
AI를 활용한 초기상담 과정은 사전 안내 문자메시지 발송을 시작으로, AI 시스템이 대상자에게 전화를 걸어 상담을 진행한다. 상담이 완료되면 그 내용은 담당 공무원에게 자동으로 제공되어 심층 상담이나 가구 방문 등의 자료로 활용된다.
이러한 AI 도입으로 인해 기존에 담당 공무원이 일일이 전화를 걸어 진행했던 비효율적인 초기 상담 과정이 개선되었다. 이번 사업은 9월 13일까지 지원 대상자와 방법을 확정한 후, 11월 말부터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될 예정이다.
지자체 복지담당 공무원들은 AI를 활용한 복지정책이 제대로 시행될 수 있도록 세심하게 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지역민들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