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의과대학이 없는 전라남도의 의료 인재 양성 문제와 함께, 비수도권 의대들의 지역인재전형 불균형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지역 의료 인력 양성을 위해 지역인재전형 비율을 60% 이상으로 권고하고 있지만, 여전히 다수의 의과대학이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의원(전남 순천·광양·곡성·구례 갑)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비수도권 의대 26곳 중 8곳은 정부 권고 기준에 미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6학년도 입시에서 지역인재전형 비율이 가장 높은 대학은 광주 소재 국립대로 79.1%를 기록했지만, 강원 지역 사립대는 20.2%로 크게 낮아 지역 간 불균형이 여전하다.
김문수 의원은 "전남도는 국립의과대학이 없어 의료 인력 부족 문제를 지속적으로 겪고 있는데, 비수도권 의대들의 지역인재전형 불균형이 이러한 현실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강원과 부산의 일부 의과대학은 윤석열 정부의 ‘글로컬대학’으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인재전형 비율을 축소하거나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지역 의료 취지와 상반된 결과를 낳고 있다.
김 의원은 "지역의료 인프라를 확충하고 지역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취지로 비수도권 의대 정원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의과대학들이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지역과 상생하지 않는 대학들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역의료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정부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비수도권 의대들 사이에서 지역인재전형의 편차가 크고, 특히 전남도처럼 국립의대가 없는 지역은 상대적으로 더 큰 의료 인력 문제를 겪고 있다.
지역의료 균형을 위해서는 의대 정원뿐만 아니라 지역인재전형의 비율 확대와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남도의 상황은 국립의대 신설 논의와 맞물려 있으며, 의료 취약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정책적 지원과 조정이 요구된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