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오랫동안 국립의과대학 설립을 위해 노력해 왔지만, 여전히 그 꿈은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 지난 3월 14일 대통령 민생토론회를 기점으로 국립의대 설립 문제가 본격적으로 불이 붙으면서 가시화 되고 있다.
하지만 전남도가 국립의과대학 유치를 위한 단독 공모에 나서는 과정에서 동부와 서부 지역 간의 갈등이 불거지며, 지역 간 대립이 새로운 쟁점이 되고 있다.
전남은 지난 1986년 광주광역시와 분리된 이후로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유일하게 국립의과대학이 없어 공공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의료 사각지대 문제를 가중시켜 왔다.
특히 최근 전남도가 국립의과대학 설립 공모에 나섰지만, 동부권과 서부권의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지역 갈등으로까지 번진 점은 우려를 낳고 있다.
범도민적 화합과 정치권의 역할
하지만 일각에서 꾸준히 지적되고 있는 점은 "이 문제로 전남이 동·서부 간에 갈등이 심화되고 있어, 도민 전체의 '화합'을 위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남 의료인프라 문제는 단순히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전남 전체의 공공의료 체계를 강화하고 지역 간 격차를 줄이는 중대한 과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치권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수적이다"는 요구와 함께 "무엇보다 전남을 기반으로 한 더불어민주당이 거대 정당으로서 책임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전남을 토대로 중앙 정치 무대에서 기반을 다져온 터기에, 국립의과대학 설립과 같은 공공의료 확대를 요구하는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에 응답해야 할 책무가 있다"고 꼬집는다.
그동안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정부가 집권하는 동안에도 전남의 의료 인프라 확충이 미흡했다"는 비판을 고려할 때, "민주당은 제1야당으로서 이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공공의료 확대 위한 대안 마련 시급 정치권 결단 필요
일각에서 "민주당은 당장 전남 국립의과대학 설립 추진으로 인해 동·서로 갈라진 지역 내 갈등을 조정"하고, "국립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고 적극 나서라"는 지적이다.
특히 "지방 의료 불균형 해소와 공공의료 확충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립의과대학뿐만 아니라 부속병원 설립, 공공의료 종사자 지원 정책 등 다양한 대안도 함께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이 단순히 선거철에만 표를 호소하는 것이 아니라, 전남 주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이를 행동으로 옮기는 모습을 보일 때, 비로소 전남 지역의 신뢰가 굳건히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는 목소리다.
전남 국립의과대학 설립 문제는 단순히 지역 간의 경쟁이 아니라, 전남 전체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다. 따라서 "정치권의 노력이 절실한 시점에서, 민주당이 선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간 갈등을 치유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해 범도민적 차원의 협력과 정치권의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결국, 전남 지역 사회가 의료 사각지대를 벗어나고, 보다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정치권의 결단과 실천이 절실하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 전남 의대설립 공모, 순천대 불공정성 의혹 제기…도민 불신 증폭
- 전남도, '의대신설 자료 제출 거부' 현행법 위반
- 전남 국립의대 설립, 도민 중심과 중앙정부 역할의 중요성
- 전남도의회, "동·서부 모두 아우르는 의대신설 추진" 강조
- 국립나주병원, 행정안전부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 김태균 전남도의장, 전통시장 방문‥물가점검‧상인격려
- 순천시, 전남지사에게 "대통령 결심 위해 힘 모으자"
- 순천대 불참·목포대 불공정 성토, '신뢰성 상실한' 용역사
- 전남도, '녹색해운항로' 구축 앞장…탄소중립 해운의 미래를 열다
- 전남도, 국립의대 없는 현실과 지역인재전형 불균형 심화
- 전남의대 신설, 통합의대 '정부가 확정' 매듭지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