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MS)가 오픈AI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코파일럿'에 타사의 인공지능(AI) 모델을 통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는 23일(현지시간)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MS가 대표 제품인 'MS 365 코파일럿'에 자체 개발 모델과 타사 모델을 추가로 적용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이는 기업들이 비용과 처리 속도 문제 등을 제기한 데 따른 것이다. 오픈AI의 모델은 성능은 뛰어나지만, 가격이 비싼 편인데다 많은 이용자가 몰려 있어 서비스 장애가 간간히 발생할 정도다.
하지만 MS는 이번 일로 양사의 관계가 변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MS 대변인은 "오픈AI는 여전히 최첨단 AI 모델, 즉 가장 진보된 AI 기술에서 MS의 중요한 파트너"라며 "MS는 오픈AI의 다양한 모델을 여전히 통합할 계획이며, 양사의 협력 관계는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기존 계약에 따라, MS는 오픈AI의 모델을 맞춤화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하고 있다.
MS가 추가 중인 모델은 자체 소형언어모델(sLM) ‘파이-4’와 오픈 소스 모델로 알려졌다. 이를 맞춤화, 365 코파일럿의 속도와 효율성을 향상한다는 목표다. 특히 간단하고 빠른 작업을 위해 sLM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깃허브와 소비자용 챗봇 코파일럿에서 이런 면이 드러나고 있다. 깃허브은 오픈AI의 'GPT-4o'를 대체하기 위해 구글과 앤트로픽의 모델을 도입했으며, 소비자용 챗봇 코파일럿은 자체 모델과 오픈 소스 모델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또 MS의 수익이 예상만큼 따라오지 못하는 것도 이유로 꼽혔다. 구체적인 매출 데이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가트너는 지난 8월 발표한 조사에서 152개 IT 기업 중 대다수가 365 코파일럿 프로젝트를 테스트 단계 이상의 정식 도입으로 연결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 MS 코파일럿, 이미지 입력 필요 없이 웹 사이트 읽고 답하는 '비전' 기능 도입
- MS, '코파일럿' 실패 인정하나..."일부 지역에 무료 번들로 제공"
- MS, 최초로 구글·앤트로픽 모델 서비스...깃허브 '코딩 어시스턴트'에 통합
- MS, 수익 확대 위해 일부 국가서 '코파일럿' 강매
- MS, sLM '파이-4' 완전 오픈 소스 출시..."가중치까지 공개"
- MS "오픈AI, 경쟁사 클라우드 통해 모델 학습·서비스 허용"
- "MS-오픈AI 관계는 술레이먼 때문에 깨져"
- MS, 맥용 '코파일럿' 앱 출시...'빙 챗' 선보인지 무려 2년 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