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구역 규모·비대면 업무 환경·디지털 전환 정책이 영향 미친 듯

최근 1년간 광주시와 전남도 공무원들이 업무 목적으로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프로그램 구독에 사용한 예산이 총 4769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남도의 AI 활용 예산이 광주의 14배 수준으로, 전국 지자체 중에서도 상위권을 기록해 주목된다.

셔터스톡
셔터스톡

광주시는 2023년 1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생성형 AI 프로그램 구독에 총 314만 8000원을 사용했다. 

공무원 37명이 챗GPT를 비롯해 이미지 생성 AI 미드저니(Midjourney), 문서 작성 AI 감마(Gamma), 대화형 AI 클로드(Claude) 등을 활용했다.

광주시의 AI 활용 규모는 전국 광역지자체 중 낮은 수준으로, AI 관련 예산을 비교적 보수적으로 운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AI 도입에 대한 신중한 접근과 함께, 기존 행정 프로세스 내에서 AI의 필요성을 제한적으로 평가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광주는 단일 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어, 복잡한 행정 네트워크를 운영해야 하는 광역지자체에 비해 AI 자동화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었을 가능성이 있다.

전남도, 4454만 원 지출…광주의 14배, 전국 4위 기록

반면 전남도는 같은 기간 4454만 2000원을 생성형 AI 구독에 투입했다. 

이는 전국에서 제주(6871만 원), 서울(5634만 원), 경기(4675만 원)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금액이다. 전남도 공무원 118명이 챗GPT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의 AI 활용 비용이 광주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이유에 대해 몇 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전남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넓은 행정구역(12,319㎢)을 보유한 광역지자체로, 22개 시·군을 관할한다. 

반면 광주는 하나의 도시에 해당한다. 행정 서비스 제공 범위가 넓을수록 AI를 활용한 문서 작성, 데이터 분석, 민원 대응 등의 필요성이 커질 수 있다.

도서·산간 지역의 원격 행정 필요성

전남은 도서·산간 지역이 많아 공무원들의 물리적 이동이 어렵고, 행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 도구 활용이 필수적이다. 

광주와 달리, 도청과 시·군청 간 거리가 멀어 AI를 통한 원격 지원과 행정 자동화의 필요성이 더욱 컸을 가능성이 높다.

전남도는 최근 디지털 전환과 행정 혁신에 집중하며, AI 기반 행정 자동화를 적극 도입하고 있다. 

챗GPT를 통한 문서 작성, 정책 보고서 정리, 민원 응대 등의 활용이 활발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전남은 농어촌 지역 지원과 관광 홍보 등에서도 AI 활용을 고려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공무원 수와 조직 구조 차이·업무 효율성 vs 보안 문제…AI 도입 신중해야

전남도청뿐만 아니라 22개 시·군청이 개별적으로 AI를 도입하면서 총 비용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 광주는 단일 행정구역으로, AI 구독 규모를 제한적으로 운영했을 가능성이 크다.

생성형 AI 활용은 공공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순기능이 있지만,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광주 서구을)은 "생성형 AI의 업무 활용이 증가하면서 공공문서 및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업무 외 용도를 방지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과 보안 대책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남도의 높은 AI 활용이 행정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보안 리스크 관리와 예산 집행의 적절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국 지자체, AI 구독에 3억 9168만 원 지출…챗GPT가 가장 인기

한편, 전국 17개 시·도가 공무원 업무 지원을 위해 생성형 AI 프로그램을 구독하는 데 사용한 비용은 총 3억 9168만 6000원으로 집계됐다.

지자체별 지출 순위는 ▲제주 6871만 원 ▲서울 5634만 원 ▲경기 4675만 원 ▲전남 4454만 원 ▲충남 4313만 원 순이다. 

이 외에도 강원(3721만 원), 부산(3286만 원) 등이 AI 구독 비용을 많이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전은 12만 8000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은 금액을 기록했다.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 프로그램은 챗GPT였으며, 이어 클로드(Claude), 미드저니(Midjourney), 감마(Gamma) 등이 주로 활용됐다. 

음악 제작 도구, AI 기반 검색 서비스, 동영상 편집 및 음성 합성 AI도 일부 지자체에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보안 논란이 불거진 중국 AI 서비스 ‘딥시크’는 전국 지자체 중 어느 곳에서도 구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생성형 AI 활용이 점점 확대되는 가운데, 지방자치단체가 보안 문제를 고려한 신중한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