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리기업 전환을 추진 중인 오픈AI가 비영리 부문의 사회공헌 방향을 정립하기 위해 외부 자문 그룹을 구성한다. 이는 일론 머스크 CEO의 소송 등 주변 잡음을 줄이려는 노력이다.
오픈AI는 2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보건과 과학, 교육, 공공 서비스 등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 그룹을 4월 중 구성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그룹은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구성 후 90일 안에 오픈AI 이사회에 정책 제언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이 보고서는 비영리 부문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전망이다.
오픈AI는 2015년 순수 비영리 연구소로 출발했으나, 연구 개발 비용 증가로 인해 현재는 비영리 부문이 영리 부문을 통제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투자자와 직원들에게는 ‘수익 상한(cap-profit)’이 적용된 형태의 이익 배분이 이루어진다. 이후 마이크로소프트(MS)와 벤처캐피털(VC) 등 외부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유치하며 성장해 왔다.
하지만 오픈AI는 현재의 영리 부문을 일반적인 주식회사로 전환할 계획이다. 기존의 '비영리 부문이 영리 부문을 통제하는 구조'에서 '공익법인 구조'로 변경하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비영리 부문은 수십억달러의 자금을 확보하는 대신, 경영권을 넘기게 된다. 이에 따라 비영리 부문과 MS 같은 투자자들은 공익법인의 주주 형태로 전환될 예정이다.
오픈AI는 이런 구조 변경이 장기적으로 회사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가장 적합한 형태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체제에서는 비영리와 영리 부문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공익법인이란 개념은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이라는 선언적 의미를 가질 뿐, 이를 법적으로 강제하는 장치는 없다.
다만, 공익법인으로의 전환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비영리 부문의 지속 가능성을 입증해야 한다. 오픈AI는 캘리포니아 주정부의 승인이 필요하며, 현재 진행 중인 일론 머스크와의 법적 분쟁, 그리고 메타 등 주요 기업들의 반대 여론도 넘어야 할 장애물이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 공헌을 강화하는 것은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이번 캘리포니아 중심의 전문가 자문 그룹 구성도 이와 관련이 있다. 오픈AI는 “자선 커뮤니티 및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 협력해 역사적으로 중요한 자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오픈AI는 이 전환 작업을 신속히 마무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만약 연말까지 전환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소프트뱅크를 포함한 일부 투자자들이 수십억에서 수백억달러의 투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