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여수세계섬박람회를 앞두고, 정기명 여수시장이 지난 6월 30일 임기 3주년 언론인 브리핑에서 "관광객 2천만 명 시대"를 선언했다. 

그러나 정작 전문가들은 고개를 갸웃한다. 과연 지금의 여수시 행정 체계와 관광 인프라로 이 숫자가 가능한지, 정답은 데이터가 말해줄 수 있다.

6월 30일 정기명 전남 여수시장이 취임 3주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여수시)
6월 30일 정기명 전남 여수시장이 취임 3주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여수시)

하지만 안타깝게도 정 시장의 시정은 여전히 직관과 관성 위주로 작동하고 있다. 만약 이 도시의 행정 운영에 인공지능(AI)이 적극 도입되었다면, 결과는 달랐을지도 모른다.

정치와 AI가 만났다면, '데이터가 정책을 만든다'

전 세계적으로 이미 AI는 행정결정의 보조자로 활약 중이다. 핀란드 헬싱키시는 모든 정책 브리핑 자료에 AI가 수집한 시민 반응 분석이 첨부된다.

중국 항저우시는 교통 신호, 대중교통 배차, 심지어 범죄예측까지 AI가 담당해 시민 만족도 30% 증가를 달성했다.

에스토니아는 AI 기반 디지털 거버넌스를 통해 전 국민 행정서비스의 99%를 무인화하고 있다.

반면 여수시는 관광·예산·도시개발 등 모든 의사결정이 전통적 간담회, 민원 위주의 정성적 방식에 머무르고 있다. 

이런 행정체계로는 관광객 수요 예측, 교통흐름 분석, 콘텐츠 선호도 추이 같은 복합 데이터를 읽어내기 힘들다.

AI로 '섬박람회'를 다시 설계한다면?

정 시장이 공언한 관광객 2천만 명. AI는 이 숫자에 대해 먼저 역산(logic-based forecasting)부터 시도했을 것이다.

지역 숙박·교통수용 인프라 용량 분석, 지난 10년간 관광객 이동경로 데이터 기반의 수요예측, SNS·OTA(온라인여행사) 리뷰 데이터를 통한 관광 만족도 및 관심 트렌드 분석, 주요 외국인 관광객 국가별 관심도, 시즌별 방문 시기 자동 분석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결과는 단순한 '홍보 슬로건'이 아니라, 어느 나라에서 어떤 시기에, 어떤 방식으로 유치 전략을 짜야 하는지 구체적인 실행방안으로 내려졌을 것이다.

실제로 관광학 전문가들은 여수시의 관광정책에 대해 "슬로건 중심 행정", "기대효과 과장", "체류형 콘텐츠 부족"을 공통적으로 지적한다.

김종원 축제 전문가는 대한민국축제콘텐츠대상 총감독으로서, "축제의 콘텐츠 생명력 유지와 AI 기술 활용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축제가 콘텐츠로서 생명력을 가져야 한다"고 하였고, 현장 혼잡도·주차 문제·관객 동선 등을 AI 기반 시스템으로 분석·관리하는 사례도 소개한 바 있다.  

KT와 일부 지방자치단체·축제 주최 측은 "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혼잡도 분석, 마케팅 전략, 축제 부스 및 관객 흐름 예측 등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축제 준비 단계의 타겟 마케팅부터 운영 중 실시간 데이터 분석까지 AI 기술을 통합 적용하는 것으로 준비된 관광을 유도할 수 있다. 

정 시장의 시정운영, '감정이 아닌 알고리즘'으로 넘어가야

정기명 시장은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민생 중심 시정"을 강조해왔다. 이는 긍정적이다. 하지만 현재는 데이터 없는 직관적 행정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특히 정책 우선순위는 민원 수보다 지역 장기 데이터로 설정해야 한다. 홍보 아닌 시뮬레이션 기반의 정책 효과 예측이 우선돼야 한다.

행정조직 내부에도 AI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이 도입돼야 한다. AI는 사람이 빠뜨리는 패턴을 보고, 사람이 낼 수 없는 속도로 결론을 내며, 감정이 끼어들 여지를 없앤다.

지방자치도 결국 '성과'로 평가받는 시대, 정치가 감정이라면 행정은 분석이어야 한다.

정기명 시장이 박람회에 전력투구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것이 도시의 미래 전략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해선 의문이 남는다.

관광객 수치 부풀리기보다, 알고리즘 기반의 도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일회성 행사가 아닌, 지속 가능한 스마트도시로의 전환이 관건이다.

여수는 이제 '섬의 도시'를 넘어, '데이터의 도시'로 변화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맞이했다.

정기명 시장의 남은 1년이, 그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냉정한 검증이 필요한 시점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