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김기선)이 인공지능(AI) 융합 인재 66명을 배출했다고 밝혔다.
GIST는 박사급 신규 연구 인력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2년도 AI 기반 사회문제해결 융합인재 양성 지원사업’을 마무리하고 지난 12일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다양한 전공을 가진 박사급 연구원들의 AI 융합연구를 지원하는 내용이다. GIST의 과학기술선도기초 사업 중 하나로, 1년 동안 진행했다.
▲박사급 연구원 단독 연구 ▲박사급과 AI 전공 박사과정생의 공동 연구 ▲박사급과 AI 전공 박사급이 참가하는 연구 등으로 트랙을 나눠, 연구자 66명을 대상으로 24개의 과제에 대해 연구비를 지원했다. 다양한 학문 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기술을 접목, 새로운 접근법을 탐구하도록 도왔다.
또 CJ올리브네트웍스와 연계해 연구자들에게 디지털 기초-중급 과정의 데이터 처리 교육 등을 제공했다. AI 비전공자의 재직자 재교육과정도 운영했다.
성과발표회에서는 1‧2차 지원과제 23건에 대한 발표와 시상식을 진행했다. 유영진 박사(송영민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연구실 소속)가 1등상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유영진 박사는 AI 딥러닝 기반 ‘가이아 투르누아’ 플랫폼을 이용한 ‘바이러스 컬러 감지’ 연구를 진행, 기존의 바이러스 감지 기술을 개선했다.
우수상은 ‘앙상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내 에너지 소모 추정’ 연구를 발표한 안창욱 교수(AI대학원) 연구팀이, 장려상은 ‘하지 재활훈련을 위한 AI융합 소프트 3차원 힘 센서 기반 촉각 피드백 시스템 개발’ 연구를 진행한 윤정원 교수(융합기술학제학부) 연구팀이 수상했다.
GIST는 이번 사업을 기점으로 AI 융합형 연구를 활성화하고 박사급 신진 연구원들이 AI를 자기 분야에 잘 활용하는 융합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선도적인 역할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기선 총장은 “최근 AI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접목돼 엄청난 시너지를 발휘하고 있다”며 “이번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사회 적 현안을 융합적으로 사고하고 탐구하는 융합형 과학기술인을 양성하겠다”고 말했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aitimes.com
- GIST, 인공신경망 이미지 기술로 시그래프 최우수 논문상 수상
- “이론이나 형식보다 실제 경험할 환경이 중요”
- "의사보다 빠르고 정확하게"…'AI'로 안구건조증 판독
- 혈류 속도 400배 빠르게 실시간 분석하는 알고리즘 나와
- "다양한 공학기술 체험부터 진로 탐색까지"…'지스트와 함께하는 과학캠프' 호평
- 광주시, 국비 3조3081억원 확보…AI·반도체 등 미래 먹거리 사업 박차
- GIST, 담양군과 AI 스마트팜 개발 MOU
- 플릿튠, 금호 고속버스에 AI 최적경로 솔루션 공급
- 광주 북구, 4차산업 분야 청년 일자리 및 창업 지원
- GIST 신임 총장 공모...2월 5일까지 지원서 접수
- GIST 총장 해임 소송 재판부 조정으로 종결
- GIST, 2차원 반도체 물질의 합성 메커니즘 규명
- [동정]신종원 GIST 교수, IEEE/ACM 편집위원 선임
- GIST 공동연구진, 갑오징어 눈 닮은 고대비·고해상도 카메라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