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역 디지털 인재와 기업 성장 거점을 조성하기 위한 시범 사업지를 선정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지원' 시범사업을 3일부터 3월31일까지 공모한다고 2일 밝혔다.
서울과 경기를 제외한 15개 광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이번 공모에 선정된 지역 2곳에는 2023년 21억원(지자체 30% 이상 매칭)을 시작으로 2025년까지 지원금이 주어진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이 지역균형발전의 가치로 재인식되고 있으며, 제조, 농·축·수산, 관광 등 지역 주력산업의 고도화에 있어 인공지능(AI)과 메타버스 등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을 중요 과제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또 청년이 선호하는 디지털 일자리의 창출을 통해 지역소멸, 산업위기에 대응하려는 지자체의 노력도 확산 중이라고 전했다.
이를 위해서는 우수한 디지털 인재와 기업이 지역에서 배출된 후에도 정착해 지역 경제·사회에 기여하는 선순환이 형성돼야 한다며, 적합한 입지에 디지털 혁신거점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올해부터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선정 평가위원회에서 디지털 인재·기업의 수요에 부합하는 2개 입지를 우선 선정, 3년간 시범적으로 지원한다고 전했다. 지역의 수요나 사업 성과를 추후 사업규모 및 시범지역의 확대도 검토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지원 내용으로는 우선 지역 내 기존 공공시설을 디지털 혁신거점의 앵커역할을 할 핵심시설로 조성, 테스트베드 및 시설장비. 업무공간 등을 집약적으로 배치하고 구축하는 것이 포함됐다.
또 청년인재의 사업 아이디어 구현 및 창출을 지원하는 산학연 R&BD(사업화 연계 연구개발) 협업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은 물론 디지털 혁신거점 활성화를 위한 운영위원회와 ICT 청년 중심 협의회 구성·운영해 인적교류를 지원한다.
아울러 시범사업과 별도로 지자체가 직접 주관해 대규모 사업으로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을 추진하려는 경우, 이에 필요한 예비타당성 조사 등 사전 기획에 대한 적극적 지원도 병행할 예정이다.
오용수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지역에 디지털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공장 설립 등에 유리하게 설계된 기존 산업단지와 차별화된, 디지털 기업·인재의 수요에 맞게 설계된 새로운 거점의 조성이 필요하다”며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을 포함한 전반적인 추진과제들도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관계부처, 지자체 등과 협업해 적절한 시기에 마련·발표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과기정통부, 4개 과학기술원 공공기관 지정 해제
- 정부, 차세대 AI 개발에 2600억 투입...'AI 10대 프로젝트' 추진
- 과기정통부, 대학-연구기관 주도 지역혁신 강화...3개 사업 통합공고
- 과기정통부, AI융합혁신대학원 4개 대학 신규 선정 공고
- 광주‧전남대학총장협의회,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 지지 성명
- 광주시,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 위한 지원 조례 발의
- 과기정통부, 융합기술개발 814억원 지원...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
- 챗GPT를 바르게 쓰려면...'AI 윤리교육' 초중고 교재 설명회
- 과기정통부, SW중심대학 51개로 확대…838억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