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대학총장협의회 소속 대학 총장들이 2일 목포가톨릭대학교에서 열린 협의회에서 '광주‧전남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지지’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반도체 특화단지는 K반도체 재도약과 국가의 명운을 걸고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반드시 대한민국 미래 반도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곳에 들어서야 한다"면서 "광주와 전남은 이를 위한 경쟁력과 성장 잠재력을 가진 지역"이라고 주장했다.
인공지능(AI) 기반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와 전국 최고 수준의 재생에너지 자원을 보유한 지역이라는 점을 그 이유로 들었다. 부지와 용수 등 핵심 인프라를 즉시 공급할 수 있고, 우수 대학이 많아 인력 공급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성택 협의회장(전남대학교 총장)은 "광주‧전남은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한 최적의 여건을 갖춘 지역"이라면서 "지역 대학들이 힘을 모아 인재양성 및 관련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aitimes.com
관련기사
- [인사]한국과학기술원(KIST) 뇌기능연구단장
- 과학기술정보연이 선정한 미래기술 10가지는
-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 공모...2곳에 올해 21억 등 3년간 지원
- 광주AI산단 입주기업, 매출·채용 증가 추세
- KCA, 디지털 정책 지원체계 강화 위한 조직개편
- 광주시,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 위한 지원 조례 발의
- 광주·전남 '반도체 특화단지'에 97개사 참여 희망
- "AI 산업과 창업에 올인할 것"...강기정 광주시장
- 전남, AI 첨단농산업 융복합 지구 조성 추진
-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에 4년간 176억원 투입
- 광주시, AI반도체 성능 검증할 클라우드 환경 시스템 구축한다
- 전남대기술지주회사, 팁스 운영사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