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테크노파크(원장 김영집)는 ‘치매코호트 멀티모달 데이터적용 실증기반 구축사업’ 3차년도 운영위원회를 개최,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23일 열린 운영위원회에는 광주시를 비롯해 사업 수행기관인 광주테크노파크, 조선대 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 전남대병원, 조선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원광대병원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차년도 사업성과와 3차년도 사업계획 등을 공유하고 논의했다.
이 사업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약 200억원 규모의 재원을 투입해 다양한 치매 관련 제품을 실제 환경에서 실증테스트 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고 실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내용이다.
지난해에는 치매 예측‧진단‧예방‧치료 제품을 개발·생산하는 기업 28개사에게 데이터 활용, IRB 계획 수립 및 연구자임상, 제품실증, 시제품제작, 마케팅 등을 지원했다.
특히 광주테크노파크는 다음 달 2단지 부지에 치매기술센터(가칭) 건립공사를 착공한다. 올 말에 완공 예정인 센터에는 치매데이터 수집·분석·실증평가 장비 등을 구축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련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 조선대 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은 지난 10여년간 다양한 형태를 통해 검진한 1만6000여명의 치매환자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해 치매 위험도 분석과 예측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불어 전남대병원·조선대병원·서울성모병원·원광대병원은 연구자 주도 임상 지원을 통해 제품의 유효성, 안정성을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김영집 광주테크노파크 원장은 "치매는 경도인지장애 때부터 조기 발견 관리하면 예방과 지연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라며 "이를 위해 의료계와 산업계간 협력 체계를 통한 데이터 활용 기반 실증사업으로 광주가 치매의 예측·예방·치료 실증 성공모델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aitimes.com
- "2042년까지 경기도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 광주시, 100만평 미래차 국가산단 유치
- 광주, 차세대 지능형반도체 기술개발 2단계 사업 선정
- GIST–인하대, 유인우주시대 대응 위한 학술교류 협력
- 광주, 실감콘텐츠 인재 육성 위해 산·학·관 협업체계 구축
- 광주시, 반도체 특화단지 육성 위한 입법지원 토론회 개최
- 국토부 “광주 미래차 산단 조기 착공 적극 지원”
- 광주테크노파크-중국 요녕성 심무개혁혁신시범구 업무협약체결
- 광주시, 드론 운영 자치구로 확대
- 강기정 광주시장 인도와 AIㆍ빅데이터 교류 협의
- 한국알프스, 광주에 449억원 규모 제조·연구시설 증설
- 전남대기술지주회사, 팁스 운영사 선정
- 광주시, AI 가전 활성화 전략 포럼 개최
- AI융합사업단, 22~23일 'AI 제작·상용화 사업' 2차 평가
- 광주TP, '의료AI 솔루션 보급 및 확산' 사업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