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주요 7개국(G7) 정상이 연말까지 생성 인공지능(AI)에 대한 합의안을 내놓기로 했다.

로이터와 블룸버그 등은 20일(현지시간) G7 정상들이 일본 히로시마에서 19일부터 사흘간 회의를 열고 추후 생성 AI에 대한 각료급 회의를 통해 생성 AI에 대한 거버넌스를 정리, 연말에 발표한다는 '히로시마 프로세스'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G7 정상들은 생성 AI가 빠르게 확장하며 허위 정보와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했다. 

특히 미국과 영국은 내년 선거를 앞두고 SNS를 통해 생성 AI를 활용한 가짜 뉴스와 딥페이크 등이 퍼져나가는 것을 강하게 경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주에는 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미국 상원 청문회에서 스스로 AI의 규제를 역설하기도 했다. 또 EU는 최초의 관련 법규인 'AI 법' 초안 작성을 위해 지난 몇달 간 치열한 토론을 거쳐 내년에 합의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G7 의장을 맡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AI 개발이 인간 중심적이고 신뢰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국가 간 협력에 재정적인 기여를 약속했다.

그러나 G7의 이러한 움직임이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히로키 하부카 AI 및 첨단기술 와드와니 센터 선임연구원은 "중요한 것은 결국 국가가 법으로 기술을 단속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하지만 기술의 발전이 너무 빨라 법이 상세한 부분까지 따라가기 어렵다는 데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또 일부 선진국 위주로 AI 국제 표준을 설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교코 요시나가 조지타운대학교 법률 센터  선임연구원은 "AI 규제에 대한 논의가 실효성이 있으려면, 저소득 국가를 비롯해 가능한 많은 나라를 참여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