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2일부터 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국제 병원 및 헬스테크 박람회(KHF 2024)'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혁신적인 의료 기술과 솔루션이 대거 소개되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AI와 빅데이터로 진화하는 의료 서비스
KHF 2024는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 서비스의 미래를 조망하며,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의 발전상을 선보였다. 특히, 국내 빅테크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헬스케어 분야 진출이 주목받았다.
닥터앤서 2.0. 암, 당뇨, 우울증 등 12가지 주요 질병의 진단을 돕는 AI 솔루션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특별관에서 소개되었다.
디지털트윈 기술. 프리딕티브AI의 윤사중 대표는 디지털트윈 기술과 AI의 융합이 미래 의료 시스템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발표하였다.
스마트 병원 업무 자동화 시스템. 포씨게이트는 AI 키오스크, 모바일 솔루션, 기초검사 자동화 솔루션 등을 선보이며 병원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박람회 성과와 향후 전망
KHF 2024는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혁신 기술을 소개하며, 의료계와 산업계의 큰 관심을 받았다.
특히, 의료계는 "AI 기반 의료 솔루션의 발전이 환자 맞춤형 치료와 병원 운영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향후 "이러한 기술들이 실제 의료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발전할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번 박람회는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 의료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헬스케어 산업의 혁신을 이끄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 [AI와 의료⑤] AI로 '수술 전 마취 위험' 더욱 안전하게
- [AI와 의료④] 국립의대 부재 전남, AI로 의료 사각지대 넘어서기
- [AI와 의료③] AI 의료혁신, 기술 격차 넘어서는 새로운 기회
- [AI와 의료②] AI 규제의 필요성과 방향성
- [AI와 의료①] 한국 병원에 다가오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
- 제24회 순천남승룡마라톤대회 9500명 참가 성료
- 전남도, 내년 예산 12조5436억원 편성…올해보다 2.4%↑
- 전남교육청, 내년 본예산 4조8천850억 편성…올해 대비 320억↓
- AI로 진화하는 전남도 산림복지
- 전남도, 정부박람회서 인구 활성화 프로젝트로 지역의 미래 비전 제시
- 전남도, 에너지산업의 중심으로 도약 – 현실과 과제 함께 살펴봐야
- 전남 장흥, 한국문학과 생태관광의 메카로 도약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