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고흥 나로우주센터를 기반으로 한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에 속도를 내고, AI 시대에 걸맞은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에 본격 돌입했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16일 오후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을 방문, 윤영빈 우주항공청장과 면담을 갖고 ‘제2우주센터 고흥 나로우주센터 인근 유치’ 및 '사이언스 컴플렉스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협력' 등 전남도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트 구축 상호협력을 위한 논의를 하고 있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16일 오후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을 방문, 윤영빈 우주항공청장과 면담을 갖고 ‘제2우주센터 고흥 나로우주센터 인근 유치’ 및 '사이언스 컴플렉스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협력' 등 전남도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트 구축 상호협력을 위한 논의를 하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지난 16일 경남 사천에 위치한 우주항공청을 방문해 윤영빈 청장을 만나 고흥 제2우주센터 유치와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정책 반영과 전방위 협력을 요청했다.

고흥은 이미 2013년 나로호 발사 성공을 통해 대한민국 우주개발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자리잡은 바 있다. 

김 지사는 "기존 나로우주센터와의 시너지, 발사체 시험·조립·발사 등 전 주기 연계, 발사체 특화지구의 일관된 육성을 위해 제2우주센터는 반드시 고흥에 들어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제2우주센터는 차세대 재사용 발사체 등 최첨단 우주기술이 구현될 미래형 발사장으로 계획되고 있어, 고흥이 그 최적지임을 명확히 한 것이다.

전남도가 구상하는 우주산업 클러스터는 단순히 로켓을 쏘는 시설을 넘어서, 민간 주도형 우주경제를 실현하는 산업 전초기지다. 

이곳에서는 ▲발사체 엔진 시험 ▲조립 ▲발사 ▲위성 제작 ▲데이터 처리까지 전 주기를 통합한 산업체계가 마련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전남도는 고흥 일대에 사이언스 콤플렉스를 조성해 과학기술 기반의 교육, 체험, 연구 거점을 구축하고, 청소년 우주인재 양성과 관광자원화까지 연계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이 사업이 국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우주항공청의 지원도 요청했다.

AI와 우주산업의 결합, 전남에서 현실이 되다

AI 기술이 본격 도입되면서 우주산업의 개념도 완전히 달라지고 있다. 발사체의 비행 데이터 분석, 궤도 예측, 고장 진단은 물론, 위성을 통해 수집된 정보의 활용까지 모든 과정에서 AI의 역할은 핵심이다.

특히 위성 데이터는 기후 예측, 해양 관측, 스마트 농업, 국방·재난 대응 등 다양한 산업에 응용되며, '우주 → 데이터 → 지상 응용'으로 이어지는 복합 산업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전남은 이러한 흐름을 반영해, 고흥의 발사체 산업을 중심으로 "나주의 AI 전력시스템, 순천·광양의 스마트농업 기술, 무안의 드론 물류 인프라" 등을 하나의 클러스터로 연결해 AI+우주 융합 생태계를 실현하려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전남도는 ▲민간전용 엔진연소시험시설 구축 ▲AI 기반 우주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발 ▲미래항공모빌리티(AAM, eVTOL 등) 기술 연계 사업에 대해 정부 협의와 국고 확보에 나섰다. 이 모든 프로젝트는 2026년 국고지원 신규사업 반영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김영록 지사는 "고흥 우주센터를 중심으로 한 전남의 우주산업은 단순한 지역 사업이 아니라, 대한민국이 글로벌 우주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핵심 기지"라며, "발사체 제조부터 조립, 발사까지 전 주기를 포괄하는 지속가능한 미래산업 생태계를 전남에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우주는 더 이상 과학자의 전유물이 아니다. 전남이 그리는 우주지도는 기술과 데이터, 청년 일자리, 과학문화, 교육이 함께하는 새로운 삶의 지형이다. 고흥에서 시작된 꿈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꾸고 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